본문 바로가기

2. 식재 디자인/[초화&특화] 디자인★63

[번역]4장.다년생식물의 활용 Plangting : A New Perspective 식재 : 새로운 시선 / 저자 Piet Oudolf & Noel Kingsbury 4장. Four 다년생식물의 활용 Long-Term Plant Performance 1. 어떤 다년생이 다년생식물인가? How Perennial Are Perennials? 2. 수명과 생존전략 Longevity and Survival Strategies 3. 장기식물 활용지표 Long-term Plant Performance Indicators 3-1. 타고난 고유수명 Inherent Longevity 3-2. 번지는 능력(줄기뿌리 번식력) Ability to Spread 3-3. 지속성 Persistence 3-4. 씨뿌리는 능력(파종력) Ability to Seed.. 2017. 6. 22.
[번역]3-1장.다년생식물의 구성_식물조합 Plangting : A New Perspective 식재 : 새로운 시선 / 저자 Piet Oudolf & Noel Kingsbury 3장. 식물 조합 Combining Plants 1. 다년생식물의 구성 The Architecture of Perennails 2. 조합만들기 Creating Combinations 3. 사계절을 위한 식물 Plants For All Seasons 1. 다년생식물의 형태구성 The Architecture of Perennials 1) 뿌리잎 Basal Leaves 선형의 뿌리잎 Linear Basal Leaves 넓은 뿌리잎 Broad Basal Leaves 2) 줄기잎 Stem Leaves 돌출형-튼튼한 줄기 아래쪽에 잎이 주로 나는 식물 Emergents-Lower .. 2017. 6. 16.
[번역]4장.다년생식물의 활용 Plangting : A New Perspective 식재 : 새로운 시선 / 저자 Piet Oudolf & Noel Kingsbury 4장. Four 다년생식물의 활용 Long-Term Plant Performance 어떤 다년생이 다년생식물인가? How Perennial Are Perennials? 수명과 생존전략 Longevity and Survival Strategies 장기식물 활용지표 Long-term Plant Performance Indicators 타고난 고유수명 In.. 2017. 6. 10.
초화의 기대수명 초화의 기대수명 Ephemerals 단명 식물 True annuals 1년생 식물 True biennials 2년생 식물 Functional biennials 기능성 2년생 식물 Short-lived perennials 단수명 다년생 식물 True perennials 다년생 식물 Life expectancy 기대수명 A few months 몇개월 A full growing season 완전한 성장시기 Two years 2년 Two years plus, but deterioratin.. 2017. 6. 8.
피에트 우돌프의 도면 피에트 우돌프의 도면 중점식재와 매트릭스 식재의 이해 매트릭스 식재 이해하기 중점식물 식재 이해하기 '중점식재'로만 구성 맥시밀리안파크, 독일(2009-10) '중점식재'와 매트릭스식재' 의 조합 베겔가든, 네델란드 (2011) '중점식재'와 '매트릭스 식재'의 또다른 조합 로데르담(2010) 2017. 6. 7.
[목차] Plangting : A New Perspective Plangting : A New Perspective 식재 : 새로운 시선 / 저자 Piet Oudolf & Noel Kingsbury [ 목 차 ] 개론 introduction 21세기의 식물디자인 Planting Design For The Twenty-First Century 옥상녹화 Green roofs 물관리 Water management 생물여과 Biofiltration 자연스런 식물 Spontaneous vegetation 1장. One 식재 - 큰그림 Planting-The Big Picture 블.. 2017. 6. 7.
(피에트우돌프) 뉴욕식물원 뉴욕식물원 피에트 우돌프 The Seasonal Walk at the New York Botanical Garden [NYBG] 원문 : http://www.cottages-gardens.com/New-York-Cottages-Gardens/October-2014/Dutch-Landscape-Designer-Piet-Oudolf-NYBG/ 2014.10 2017. 6. 6.
The Planting Design Handbook 3rd ed. The Planting Design Handbook 3rd ed. Nick Robinson. 2016. 박상길 선생 번역, 개간되지 않은 목초지는 종이 풍부한 관상용 저경초원(低茎草原 short grassland)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초지들은 대체로 척박하거나 건조한 토양에 위치하고 있으며, 흔히 석회암 지대와 석회질 초원이 이에 해당된다. 위 초지들은 배수가 잘 되는 알칼리성 토양을 지니고 있고 수분과 양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건초용 초지에 비해 식물의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초지들은 보기 드문 불가리스할미꽃pasque flower, Pulsatilla vulgaris, 흔히 볼 수 있지만 그 만큼 사랑받는 황산앵초cowslip, Primula veris 및 다양.. 2017. 4. 6.
Five Seasons with Piet Oudolf Five Seasons with Piet Oudolf Piet Oudolf documentary trailer 가을 - 겨울 - 봄 - 여름 - 가을 Piet Oudolf documentary trailer from Thomas Piper on Vimeo. 루돌프의 정원컨셉 -물결치는 듯한 그라스류 -자연에 가까워 관리가 편한 정원형태로써 or 공간을 메우는 식물로써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하는 다년생 식물 -한겨울.. 2017. 3. 17.
루리가든(피에트 우돌프) The Lurie Garden with Piet Oudolf 루리가든/ 피에트우돌프 The Lurie Garden with Piet Oudolf from tom rossiter on Vimeo. 시카고 시내 밀레니움 파크 안에는 애니쉬 카푸어의 설치미술 작품 건너편에 오아시스처럼 루리가든이 있다. 루리가든을 거닐고 있노라면 높은 빌딩이 즐비한 시카고가 마치 그린시티처럼.. 2017. 3. 17.
[조도] 건축물의 조도분석 사례 건축물 조도분석 사례 01. 분석목적 건물 출입구가 북서향임 --> 따라서, 건물 출입구 주변이 영구음지로 추정되어, 조도분석을 해봄 02. 결과 & 시사점 도출 영구음지라고 예측했으나 조도분석결과, 음지영역이 아닌 중간영역(3,000lux이상~ 6,000lux미만) 으로 판단됨 유사한 형태의 건물화.. 2017. 2. 14.
Planting in a post-wild world Thomas Rainer & Claudia West, 2015 Planting in a post-wild world 주요 부분 발췌 01. 뿌리 형태 p.35 식물종들은 뿌리형태가 서로 다르며, 서로 다른 토양층(깊이)에서 물과 영양분으로 접근한다. 각각의 뿌리(시스템)는 서로 다른 지위(niche)를 차지하고, 다른 종과의 경쟁을 줄인다. 예를 들어, 키가 큰 광엽.. 2016. 7. 15.
[박상길] 자연과 정원의 강의자료 자연과 정원 / 강의자료 박상길선생, 2016 출처 박상길선생, facebook 2016. 7. 11.
능소화,송악,줄사철,바위수국_ 성장속도&부착력 덩굴식물의 성장속도 & 부착력 벽면녹화식물 01. 초장의 성장 속도 능소화 > 송악 > 은빛줄사철 > 금빛줄사철 > 바위수국 (송악과 바위수국은 벽을 타는 습성보다 지면을 기는 수평 성장 습성이 강하다.) 02. 식재 방향에 다른 생육 속도 송악 : 남향에서 생육이 왕성 능소화, 바위수.. 2016. 5. 4.
★[조도] 공동주택의 조도 & 초화선정 공동주택의 조도 & 초화 선정 01. 조도분석 건물 조건 : - 건물높이 23층 (층고 2.9m) - 인동거리 0.5H (현행법규 적용) - 건물길이는 105m2의 4세대로 고정 조도 조건 : - Ecotect Analysis 프로그램의 조도분석(Lighting Analysis) 활용 - 최대조도 7,000lux 적용 (사유 : 구름으로 태양을 가려서 가장 흐린 날인 .. 2016. 5. 3.
교목와 초화의 식재설계순서 비교 교목과 초화의 식재 설계순서 비교 식재디자인 설계순서 접근방식 교 목 초 화 비고 1 전체 골격 형성 소나무, 대형목, 가로수 바탕식물 (matrix plants) 2 세부 연출 공간별 테마식재 중점식물 (primary plants) 설계의 순서는 1)전체적인 골격을 잡고, 2)세부로 연출해나가는 형식을 취하면 가장 쉬.. 2016. 4. 10.
★[초화 특성표] 초화설계를 위한 제안 '초화 특성표' 작성방법 초화설계를 위한 제안 01. 식물의 관상가치를 '꽃개화, 잎감상, 겨울형태미'로 세분화하고, 이를 월별로 표시한다. (Flowering, Foliage interest, Structural interest- seedheads & stems & grass flowers ) → 현설계 수준은 꽃의 개화시기(Flowering)만 대부분 표시한다. 이를 잎과 형태까지 .. 2016. 4. 10.
★[피에트 우돌프] 식물구성법 피에트 우돌프의 식물구성법 Piet Oudolf 01. 피에트 우돌프의 식물구성법 식물을 크게 3가지 그룹으로 나눴다. 01) 중점 식물 Primary plants 화단 속에서 가장 뚜렷한 특징을 잡아주는 식물로 이 식물군을 반복시켜 화단의 특징을 선명하게 해 준다. ㅇ 네덜란드의 반 베겔 가든에 쓰인 중점식물.. 2016. 4. 6.
[초화] 식재디자인 정원 식재디자인 2016. 3. 31.
식물,색으로 이해하기 식물로 공간 디자인하기 식물 디자인의 발견- 디자인 개념으로 식물 이해하기(3) ※ 출처 : 에코스케이프(2015.10) 식물이해하기(3)_식물, 색으로 이해하기.pdf 같은 빨강이라 할지라도 흰바탕에 있는 빨강이 더 진하게 보이고, 검은 바탕에 있는 빨강이 더 밝게 보인다. (즉, 중립색(바탕색)이 .. 2016. 1. 7.
꽃색의 배합 꽃색의 배합 '원예식재와 조경'_The Ultimate Planting Guide (노엘 킹스버리 저, 이영병 옮김) 요약정리 (p.218~250) ★ 색깔과 심리 색깔이 없는 정원은 죽은 것 처럼 보이는 데 비해, 일년 내내 색깔을 주는 정원은 디자인에 성공한 것으로 생각된다. 정원에서 색깔의 문제는 색 배합의 문제이다. -.. 2015. 12. 29.
정원의 식재설계 방법(노엘 킹스버리) 정원의 식재설계 (노엘 킹스버리) ※ 출처 : 원예식재와 조경 (The Ultimate Planting Guide, 노엘 킹스버리 지음, 이영병 옮김) p.267~270 1. 정원의 골격이 될 구성요소의 안배 : 식재의 골격 -교목, 관목, 토피어리, 키큰 grass, 소품, 장식물을 타고 올라가는 덩굴 식물 등 2. 각 계절별 '주제 식물' 선정 .. 2015. 12. 27.
(피에트 우돌프) 건축가의 꿈에서 랜드스케이프 맨으로 [펌] 피엣 우돌프(PIET OUDOLF) : 건축가의 꿈에서 랜드스케이프 맨으로 ※ 출처 : 정원디자인큐가든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uspan17&logNo=20171802721 피에트 우돌프는 네덜란드인으로 현재 68세의 고령의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젊은 날 건축가가 꿈이었던 .. 2015. 12. 20.
(피에트 우돌프) 대담[라펜트] 피엣 우돌프 Piet Oudolf 와 대담 ※ 출처 : [라펜트] 피엣 우돌프와 대담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10761 "정원디자인, 시간의 흐름을 따르는 연주" 피엣 우돌프와의 대담 Q. 지금 당신은 가든 디자이너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의 토대가 되었던 시기에 대해 말씀해주시겠.. 2015.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