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식재 디자인/[초화&특화] 디자인★

The Planting Design Handbook 3rd ed.

by 장선생! 2017. 4. 6.

 

The Planting Design Handbook 3rd ed.

Nick Robinson. 2016.

박상길 선생 번역,

 


 

 

개간되지 않은 목초지는 종이 풍부한 관상용 저경초원(低茎草原 short grassland)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초지들은 대체로 척박하거나 건조한 토양에 위치하고 있으며, 흔히 석회암 지대와 석회질 초원이 이에 해당된다. 위 초지들은 배수가 잘 되는 알칼리성 토양을 지니고 있고 수분과 양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건초용 초지에 비해 식물의 길이가 짧은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초지들은 보기 드문 불가리스할미꽃pasque flower, Pulsatilla vulgaris, 흔히 볼 수 있지만 그 만큼 사랑받는 황산앵초cowslip, Primula veris 및 다양한 종류의 난들orchids과 같이 매력적인 야생화들의 서식처이다. 건초용 목초지와 마찬가지로 이곳에서도 벼과식물grass 종과의 경쟁이 감소하면서 다양한 광엽 초본식물의 성장과 번식이 촉진된다. 저경초원에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경쟁형 식물competitor인 벼과식물grass 종 보다는 스트레스 내성형 식물stress tolerator에게 더 적합한 비옥도가 낮은 토양을 쓰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만약 지대가 이미 비옥한 표토를 지니고 있다면, 때때로 이를 제거한다(그리고, 이 표토는 다른 곳에 사용한다). 실제로 야생화들로 구성된 저경초원이 조성되기에 가장 적합한 지대는 옥상과 같이 얕은 토심에 자연 배수가 잘 일어나는 곳 또는 건물 철거 후 남은 잔해, 부서진 콘트리트 혹은 버려진 채석들과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을 꺼리는 식재 기반을 갖추고 있는 곳이다(옥상녹화와 관련된 방법은 더닛Dunnett과 킹스버리Kingsburty, 2008 참조). 이러한 지대들은 비록 식물들에게 높은 스트레스를 안겨주는 환경이지만, 매우 다양하고 매력적인 식생이 자리 잡는 데 손색이 없다.


Nick Robinson. 2016. The Planting Design Handbook 3rd ed.


세 번째 유형으로 작은 꽃들이 융단처럼 펼쳐지는 꽃피는 초원flowering grassland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중세시대의 ‘화사한 초지enamelled mead’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에는 꽃밭을 가꾸는 노동력이나 선택적 제초제가 부족했기에 오늘날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유지 체계 하에 관리되었다. 또한 이곳은 데이지daisy, 미나리아재비buttercup, 제비꽃violet, 꿀풀self-heal, 자난초bugle와 같이 전형적으로 저경초원short grassland에서 자라는 꽃들의 주된 서식처이기도 하다(우드스타라Woudstra와 히치모Hitchmough, 2000). 이러한 저경초원short grassland은 풍부한 꽃들로 도시미관의 저해를 상쇄시켜주어 심미적으로 굉장한 잠재력을 지녔으며, 도심지역에서의 산책로라는 기능적인 측면도 지닌다.
꽃피는 초지flowering meadow는 햇살, 설렘 그리고 일상으로부터의 자유라는 인상을 전달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다가선다. 그리하여 초지는 정원과 경관 디자이너들이 주로 다루는 소재와 주제의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사람이 가꾸거나 준자연적인 시골의 초지로부터 시작된 이러한 경관 구성은 숙근초들이 넓은 지역에 걸쳐 자라는 자연풍 식재로 발달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라스의 역할은 점차 보조적인 존재로 바뀌었다. 기존의 초본식물을 활용한 식재 디자인과 관상용 초지를 구분하는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드넓은 지역에 식재하여 단순히 지나쳐 가는 곳이 아니라 광활한 식생을 조망하면서 자유롭게 거닐도록 유도하고;
2. 교배종 또는 품종보다는 전반적으로 유지비가 적게 들면서 개별적인 관리가 덜 요구되는 숙근초와 야생종을 선택하고;
3. 비록 이곳 저곳의 형태가 다를지라도 식재 경관이 연속성과 자연스러운 느낌을 지닐 수 있도록 식물종과 구성이 반복되는 특성을 지니며;
4. 비록 주된 초본 층위 밑에서 자라는 키 낮은 식물이 포함될지라도, 전체적으로 비슷한 높이를 유지하며;
5. 초지 내에는 드문드문 존재하는 교목과 관목 외에는 다른 목본 식물이 없어야 하고, 이들 또한 초지가 형성되기 이전에 자리 잡은 것이다.


Nick Robinson. 2016. The Planting Design Handbook 3rd ed.



얕은 생육토심으로 이루어진 넓은 옥상정원(뉴질랜드의 오클랜드Auckland). 이곳은 짧은 다발형tussock 초원에서부터 사구砂丘에서 자라는 식생으로 적절히 혼합되어 있고, 두 장소 모두 건조하며 양분이 적은 척박한 서식처이기 때문에 이곳에서 자라는 식물들은 옥상의 환경조건과 잘 들어맞는다.


Nick Robinson. 2016. The Planting Design Handbook 3rd e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