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량요소 복합비료와 4종 복합비료의 차이
제4종 복합비료 & 미량요소 복합비료의 차이'미량요소 복합비료'와 '제4종 복합비료'는 언뜻 비슷해 보이지만, 비료의 공정 규격상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제4종 복합비료'가 더 넓은 개념으로, 미량요소 복합비료의 한 종류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1. 제4종 복합비료'제4종 복합비료'는 비료관리법상의 비료공정규격에 따른 분류입니다. 가장 큰 특징은 액체 또는 수용성 형태의 비료라는 점입니다. * 주요 성분: 비료 3요소인 질소(N), 인산(P), 칼리(K) 중 2가지 이상의 성분 총량이 10% 이상 포함되어야 합니다. * 미량요소: 이와 함께, 2종 이상의 미량요소를 수용성 형태로 일정량 이상 보증해야 합니다. 미량요소에는 고토(Mg), 망간(Mn), 붕소(B), 철(Fe), 구리(Cu), 아연(Zn) ..
2025. 9. 14.
3주 모아심기 (정삼각형vs역삼각형)
보행통로 / 3주 모아심기(정삼각형 vs 역삼각형)1) 정삼각형보다 역삼각형이 좋은 식재방향이고, 이때는 2)보행자의 메인시선이 어디인지를 생각해야 한다. → 보행로의 경우, 사선(소실선)이 메인 시선이 된다. 3주 식재시,역삼각형 식재가 (정삼각형보다) 스카이라인을 잘 살려준다. (즉, 역삼각형으로 식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뜻이다.)다만, 보행로(or산책로)변에 나무를 인식하는 방향이 사선이라는 점을 추가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아래의 사례를 보면, 정면에서 볼때, 정삼각형으로 식재의 맛이 살아나지 않지만,사선으로 볼때(보행자의 시선), 역삼각형이 되어 식재의 효과가 살아나는 것을 알 수 있다. 3주 식재 / 역삼각형으로 3주 식재 / 역삼각형으로나무를 3주 식재할 때, 정삼각형..
2025.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