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식재 디자인/[초화&특화] 디자인★

★[번역]2장-중점/바탕/흩뿌리는식물

by 장선생! 2017. 7. 25.

 

Plangting : A New Perspective 

식재 : 새로운 시선 / 저자  Piet Oudolf & Noel Kingsbury

- 관심부분 번역 (중점식물, 매트릭스식재, 스캐터식물_산란식물)

 

 


 

 

2장. 식물 군식      Grouping Plants

 

1. 자연환경                        Natural Environments

2. 정원사에서 본 식물 군식    Plant Grouping in Garden History

3. 목본식물                        Woody Plants

4. 식재의 계층 : 중점식물, 바탕식물, 산란식물

           A Hierarchy of Planting : Primary Plants, Matrix Plants And Scatter Plants

- 중점식물-그룹          Primary Plants - Groups

- 중점식물-드리프트    Primary Plants - Drifts

- 반복식물                 Repeating Plants

5. 매트릭스 식재               Matrix Planting

6. 스캐터 식물                  Scatter Plants

7. 식물 레이어주기 - 자연을 읽고 디자인으로 표현하기

                               Layering Plants - Reading Nature And Writing Design

8. 식물수량 계산             Calculating Numbers of Plants

 

 

 


 

 

4. 식재의 계층 : 중점식물, 매트릭스식물(바탕식물), 스캐터식물(산란식물)

 

  A Hierarchy of planting: Primary Plants, Matrix Plants and Scatter Plants  / p.82

 

  

 

4.1. 중점식물 - 그룹   Primary Plants- Groups  /  p.83

 

수 년 동안 가정화단domestic border보다 큰 스케일의 식재디자인에서, 식물들은 그룹패턴으로 바뀌었다. 이는 작게는 세가지, 아니면 수많은(수백가지의) 식물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룹이 하나의 종이나 품종으로 단식한다는 것이 핵심 포인트이다. 이것은 단일품종의 다년생 그룹을 사용한다는 다소의 장점이 있지만, 규모가 큰 공공공간의 식재에 적용하고, 개인적인 정원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하나는 기술과 적절히 감독을 할 능력이 없는 관리자가 있는 곳에서의 유지관리가 단순하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흩어진(산만한) 식재에선 얻을 수 없는 잎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공공 공간에서 블록식재는 교육적인 이유가 있다. : 공원이나 퍼블릭정원같은 공공에서 사용된 다년생식물의 다양한 품종은 자신들의 정원에서 그들을 사용하도록 더 많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


 그룹에 기초한 식재는 서너가지 방식으로 더 많은 흥미를 줄 수 있다.:
-다른 사이즈의 그룹을 사용한다.
-핵심그룹은 리듬감이 생기도록 반복한다.
-다른 형태의 그룹을 사용한다.-드리프트 개념처럼
-큰 그룹은 흩뿌려진 식물을 반복하여 변화를 준다.- 개별적이거나 작은 그룹으로
-그룹은 두개이상의 다른종으로 만들 수 있는데, 함께 잘 조화되는 식물의 구성비율을 많이 사용하거나, 주요그룹보다 꽃이 일찍 또는 늦게까지 개화하는 것의 구성비를 적게 포함한다. 마지막 방법은 단일종의 블록이라는 정설을 파격하는 굉장한 방식이며, 혼합 식재의 아이디어로 넘어가는 첫단계이다.

 작은 가정정원에서 처럼 반복은 리듬감과 통일감unity을 주는 것처럼, 큰 스케일에서의 식재는 다소 같은 크기의 그룹을 사용하여 반복을 연출한다. 반복이 없다면, 그룹에 기초한 식재는 통일감unity이 결여된다.  ....

 

 

 

 

 

4.2. 중점식물 - 드리프트  Primary Plants-Drifts  /  p.90

 

  거트루드 지킬에 의해 사용된 드리프트drifts는 블록 식재block plantig가 주는 과도한 단조로움의 단점을 쉽게 해결한다. 드리프트drifts는 길고, 가늘고, 꾸불꾸불하고, 굽이치는 것인데,  그렇기 때문에 다른 식물들을 바로 근처까지 가게 한다. 많은 다년생 식물들이 옆으로 퍼지고, 섞이고, 엉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혼합되는 감흥을 준다. 그러나, 드리프트의 형태는 당연히 정면에서 부터 측면까지 다르게 보이는 식물 그룹을 의미하고, 보는사람의 걸음걸이에 따라 전개되는 느낌을 준다. 제킬의 드리프트는 20세기 초 영국 가드너에게 애용되었던 사각형의 보드형 화단rectangular borders에 디자인되었다.

 

  드리프트는 큰 더미drift 내에서 최대 대여섯개 종들을 단순하게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발전된다. Surrey에서 2001년 조성된 RHS 위즐리 가든의 더블보드double borders에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는데, 각각의 드리프트는 거의 같은 크기이고 기하학적으로 정교이었다. 땅에서 식물 잎은 곧은 경계위로 퍼지며 성장하고, 각각의 드리프트drift는 뒤섞이게 되는데, 이는 획일화된 느낌이 아니다.

 

  전통적인 블록식재bock plantigs를 깨길 원하지만, 좀더 복잡하고 혼합된 식재를 경험하지 못한 가드너와 디자이너에게 드리프트는 중간단계의 형태로서 좋다. 드리프트는 뒤섞인 듯한 착각을 만들 수 있고, 혼합된 식재에 대해서 관리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는 좋은 장점을 가진다. 만약 간절기mid-season에 정돈(치우기)이나 가지치기가 필요한 식물이 있다면, 전통적인 식재를 하는 만큼 이것에 접근하는 것이 쉽다.- 예를 들어, 구근은 심겨진 다년생 식물들사이에 추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복잡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해서, 잡초를 뽑고 식물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식물지식이 낮은 관리자들이 더 쉽게 하는 것이다. 

 

 

 

4.3. 반복식물  Repeating Plants       /  p.93

 

 

  반복식재repeating plants는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블록식재에 리듬과 변화를 주고 블록이 가진 두툼함을 깨기 위해서 (통상) 일정한 간격을 가진 작은 식물그룹에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반복식재는 개인정원이든지 큰 공공공간이든지 장소에 관계없이, 통일된 느낌을 만들어 주는데, 또렷한 몇개의 장기식물들long-season plants의 반복은 '이것은 한 개의 디자인과 비젼을 가진 한 공간이다'는 느낌을 준다. 이것은 눈에 뛰어서,  관람자를 이끈다.

 

  작은 스케일에서, 식물의 반복을 통해서 특정부분에 통일감이 주어진 경우, 정원의 나머지부분은 뚜렷하게 구분되는 분위기를 주려고 할 것이다. 레버후드 계획은 반복하는 식물을 이렇게 모두 사용한 사례이다. (107~109페이지를 보라)

 

  좋은 반복식재는뚜렷한 분위기와 긴계절의 흥미, 또는 최소한의 단정하게 사라지거나 한꺼번에 사라지지 않는 것이 필요한다. 이전 페이지에 나온 네덜란드에 있는 반 바겔 정원의 계획에서 보여진 것처럼

 

  독일 맥시밀리안파크에서는, 비슷한 크기의 작은 사이즈의 그룹들이 반복식재를 통해서 배치되었는 데(흩뿌려졌는 데.) 오랜 칼라long-season color 나 형태적 흥미structure interest,  매력적인 잎이 흥미로운 식물을 선택했다. 예외적으로 제라니움 사이로스테몬이 사용되었는데,(이것은 모든 제라니움 처럼 형태가 좋지 않고, 개화기 이후에 지저분하다.) 계절적으로 키큰 식물이 사이에서 더 늦게 사라진다. 그러나, 이것은 초기 여름에 자극적인 꽃색을 가져서 가치가 있고, 큰 주목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식재에서 통일된 분위기를 줄 수 있다. 계획에서 다양한 반복 식물종pepeating plant species을 보는 것은 흥미롭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식물종 그룹보다 2배 많다. 즉, 시각적으로 지배적인 식물들이 사용되어 진다. 이것에는 그라스 두종류와 아스타를 포함된다.

 

 


p.90
Trentham에서, 기본적으로 매트릭스를 연출하기 위해서 2종류의 그라스 Molinia carerulea가 사용되었는데, 다년생 식물들과 몇몇 작은 관목들 속에 심어졌다.
그러나, 이들 그라스는 매우 우점했고, 초지를 연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여기에서 중요하게 강조하는 점은 사용된 두개의 Molinia 품종이 둘다 단일식재의 블록blocks으로 심어졌고, 복잡한 드리프트drifts 형태라는 것이다.
만약 두 품종이 단순하게 함께 섞였다면,  너무도 유사해서 쉽게 구분되지 않아서그효과는 불분명했을 것이다. 드리프트를 분리하여 식재하면, 두 개 사이의 차이점이 나타날 수 있지만, 그라스가 자연초원에서 미묘하게 패턴을 나타내는 방식첨럼 드리프트 효과는 그것들을 얽어 짜임새를 준다.

 

p.91
9월 Trentham에서 Molinia carerulea 품종의 드리프트

 

6월초 Trentham에서 그라스 강............
이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간헐적인 홍수에 모두다 내성이 있다.

Surrey의 Wisley에 있는 국립원예학회 정원(2001)에서 사각형의 드리프트 식재는
네개에서 여섯개 품종사이의 식물 조합의 띠를 사용했는데, 관람자들이 중앙의 잔디 통로를 따라서 걸어야 긴 끝이 보여진다. 계획의 배열은 보이지 않는 아래의 왕성하고 뒤섞인 식물성장이다. .....

 

 

 

 

5. 매트릭스 식재(바탕식재)  matrix planting     /    p.99

 

 매트릭스식재matrix planting의 개념은 언젠가부터 우리 주변에 있었다. 하지만, 식재디자인 측면에서는 불행히도 사람들마다 각자 다른 의미로 사용되어 왔다. - 그것은 단어의 의미를 잘못 이해했기 때문이다. '매트릭스matrix'는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에 '발명되거나 개발된 것 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무엇을 둘러싸는(감싸는) 물질'이라고 정의되어 있고, 우리가 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는 벌써 매트릭스를 설명하는 멋진 유추를 해 드렸다.

 

 매트릭스는 소수의 종들이 거대한 생태계biomass를 형성하는 서식지의 자연스런 상황을 재현시킨다. 많은 종들이 포함된 생태계biomass는 훨씬 적은 수량이지만, 이것은 시각적으로 중요한 요소이다. 결론적으로, 좋은 매트릭스 식물은 부드러운 칼라와 이목을 끄는 형태를 가지지 않고 시각적으로 평온하다. 이들은 효과롭게 공간을 물리적으로 채우는 것이 필요하다. 그들 기능의 일부는 지면을 덮는 것 (또는 최소한 토양표면을 숨기는 것)이고, 그래서 함께 잘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들이 멋지게 보이거나 최소한 단정하게 보이는게 중요하고, 그것이 주는 감상기간을 마쳤을지라도, 좋은 형태structure를 가지고 있어서, 쓰러지거나 보기 싫거나 해선 안된다.

 

  그래스는 매트릭스 식재에 사용하기에 매우 좋은 식물이다. 특히 다발성형태 또는 그래스 다발(예, cespitose 종), 또는 무성하고 성장이 느리고 덤불성 형태로 자라는 종이다.  그래스가 가지고 있는 매우 다양한 생리적 이유 때문에, 그래스들은 오픈open 온대지역에 대부분 서식한다. James Hithcmough와 Cassian Schmidt와 같은 연구자와 전문가는 cespitose 그래스를 사용하여 저관리 식재를 만들도록 제안한다. 이런류의 그래스는 매우 오래 살고, '닫힌 영양 사이클'를 가져서 안정적이다. : 즉, 이들은 낙엽지고 주변에 썩은 오래된 잎에서 나오는 영양분을 재활용한다. 그들이 만드는 환경은 잠재적으로 경쟁력을 가져서, 잡초의 생장을 감소시키는 긍정적 효과가 있다. 그러나, 런너runner를 형성하지 않고, turf grass처럼 완전한 캐노피를 만들지 않거나 Miscanthus나 Calamagrostis 'Karl Foerster' 처럼 느리게 번지기 때문에, 이들은 자기를 제거하려고 위협을 주는 다년생 개화식물에 대해서 강하게 경쟁하지는 않는다. 

 

 장기 개화 식물 또는

 

 

 

 

5.1. 매트릭스와 반복식물    matrix and pepeating plants    /  p.102


 매트릭스를 베이스로 둔 디자인은 반드시 두 종류의 식재가 있다. : 하나는 넓은 지역에 시각적으로는 덜 우세한 식물이고, 다른 하나는 시각적으로 더 우세한 요소인데, 중점식물primary plants이라고 불리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시각적으로 더 우세한 요소들은 많이 반복된다면 가장 효과적이다. 매트릭스는 채움재, 배경, 이것은- 그것 스스로가 가지는 시각적인 장점은 있지만- 중점식물의 고민을 덜어주고, 그들의 종가치를 강조한다. 단순히 모든 요소들의 랜덤 배열보다 좀 더 많은 시각적 흥미의 다양성을 만들기위해서, 중점식물과 배경식물의 명확한 구분을 만들기 위해 나는 많은 고민을 했고, 초지에서 보여지거나 그들을 모방할만한 식재를 찾았다. 먹는것에 비유를 해보면, 과일케이크를 먹는 즐거움은 과일과 이를 둘러싼 케이크의 차이에 달렸다.


 가장 완전하고 자연스러운 매트릭스 식재 형태는 단순하게 그래스 초지를 만들고, 그것을 가로질로서 제한된 수량의 다년생식물을 반복하는 것이다. cespitose 그라스를 사용해서, 최소한 식재가 오래기간 생존(왜나하면, 그라스의 생존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하고 (개화하는 다년생식물의) 장식적인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아래의 표는 Ichtushof지역의 식재이며, 매트릭스식물와 중점식물들로 이뤄진 일년동안 흥미의 배분을 보여준다.
  Ichtushof식재에서 보여진 바로는, 매트릭스는 그라스 Molinia carerulea 'Moorhexe'과 다년생식물 Tellima grandiflora 'Purpurea'이고, 제곱미터당 아래비율로 배치되었다.
.Molinia : 5-7 식물
.Tellima : 5-9 식물

 

 

 


5.2. 매트릭스와 블록식재의 조합 Combining matrix and block planting  / p.105

 

 매트릭스와 가장 일반적인 블록식재를 효과적으로 조합하는 것은 2개의 다른 접근으로 다년생식물에게 대조를 이루는 것이다. 이 방식은 매트릭스 혼합을 위해 식재에 필요한 종의 숫자를 제한해야 하는데, 폭넓은 식물의 변화로 관람자를 즐겁게 해야 하는 많은 지역에서는 아마 너무 안 맞을 것이다.

 

 일종의 매스 식재가 되는 매트릭스 식재는 정해진 부지에서 식물이 얼마나 잘 자라고 성장하는지 여부에 성패가 달렸다. 큰 규모에서 실패하면 안되기 때문에, 테스트되고 경험이 있는 품종에 필연적으로 의존하는 경향이 있고, 새로운 경관을 만들고 혁신하는 것을 최대한 제한한다. 블록으로 된 매트릭스식재의 매스 효과를 조합하는 것은 가드너나 디자이너가 작은 그룹에서 사용해 봐서 잘 이해된 식물을 사용해야 한다는 약속을 전제로 한다. 또한 블록에 사용된 식물은 생장 중에 특별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 이것은 특별한 품종내에서 모든 표본을 골라서 매트릭스 식재를 헤야하므로 별로 실용적이지 않다. 그러나, 한 품종의 그룹은 다루기 쉽고, 개화기이후 보기 싫거나 또는 간절기 가지치기의 장점이 있는 식물을 단정하게 하는 데 유용한다.


 그라스나 그라스를 좋아하는 매트릭스를 가진 블록의 대조는 대부분의 관람자가 초지로 읽을 수 있는 식물들을 조합하는 식재로, 클래식한 형태로 조합하는 것이 필요한다. 오래되고 전통적이고, 새롭고, 자연주의적인 것은 함께 오고, 대조는 인상적이고 유익하다. 디자인은 다른 식물의 질과 대조를 이루는 예술적이고 단순한 컨셉에 의해서 연출될 수 있다. 관람자들은 식재의 새로움으로 틀을 깰 가능성을 직면하게 되고, 식물들이 질서정연한 블록에서 무조건적으로 성장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기억하게 된다. 물론 유사한 효과는 야생화 초지나 초원에 인접하여 그룹핑된 식물들의 화단borders에서 보여진다.

 

  

 

6. 스캐터식물(산란식물) Scatter plants       /   p.111

 

 식재에서 다소 랜덤으로 나타나는 종들은 흩뿌리는 식물이다. 이들은 느슨한 그룹이 아니라 독립적인 것처럼 추가되어, 매우 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 이들은 다른 종(매트릭스 혼합종을 포함하는)의 그룹 속에 불규칙적으로 흩뿌려지는데, 이들이 반복되어 자연적인 리듬감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핵심 관건이다.
 
 이 테크닉은 식물형태를 다양하게 하는 데 유용한데, 이는 계절적인 색감이나 장기간의 뚜렷한 형태structure를 통해서 강조된다.- 포인트는 그들이 나머지 식재와 분명하게 구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큰 규모에서는, Baptisia alba subsp. macrophylla 처럼 부피가 큰 것 조차도  흩뿌리는 식물이 될 수 있다. 이것은 실제로 좋아서, 흰꽃이 지고난 후, 잎의 질감, 관목같은 형태, 우뚝섬, 거무스름한 seedpod는 그것의 특징이며 차별점이 된다. 작은 규모에서는 형태가 작은 것이 최고의 종이 되기도 하는데, 꽃이 피지 않았을 때는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작은 식재의 좋은 예는 카르투시아노룸패랭이Dianthus carthusianorum인데, 핑크색 꽃이 그 사이즈에 비해 훨씬 두드러진다. : 이들은 긴줄기 끝에서, 다른 종들의 촘촘한 덩굴을 넘어서 길게 뻗는 잎이 최고이다. 꽃이 안 피었을 때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