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식재 디자인/[초화&특화] 디자인★

[번역]3-2장.조합 만들기_식물조합

by 장선생! 2017. 7. 1.




Plangting : A New Perspective 

식재 : 새로운 시선 / 저자  Piet Oudolf & Noel Kingsbury


 


 

 


3장. 식물 조합      Combining Plants


1. 다년생식물의 구성   The Architecture of Perennails

2. 조합만들기             Creating Combinations

3. 사계절을 위한 식물  Plants For All Seasons






2. 조합만들기  Creating Combinations


  모든 식재는 조합에 크게 좌우된다.

  조합은 (보통 인접해서) 함께 보여질 수 있는 최소 2개이상 식물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자주 반복되는 디자인의 격언은 디자인의 모든 분야에서 (일부는 진실을 말할 수 있는) 근본적인 요인에 대한 '적은 것이 더less is more' 관점이다. - 그 단순함simplicity은 복잡성과 다양성보다 정서적으로 더 큰 영향을 주곤 한다.

  그러나 그런 단순함에 대한 싫증tire은, 우리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서 약간의 복합성을 좀 빨리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다.

  단순함에서 복잡성으로의 점진적인 관점에서 보면, 모두가 서로 다른 위치를 선택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사람마다 단순함과 복잡한 정도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르다)

  미학aesthetics의 질문에 대한 모든 위치는 매우 개인적이고, 주관적이며, 문화적인 요소 또한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멕시코사람들은 밝은 노란색옆에 밝은 분홍색을 가져다 놓는 것을 좋아하지만, 많은 유럽인들에게는 공감이 되진 않는다.

 

  우리가 의식적으로 표현할 순 없더라도, 우리 모두는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이 있다.

  정원을 가꾸거나 식물과 함께 작업하는 사람들은, 자기가 함께 넣고 싶어하는 개성적인 식물들의 다양성를 정립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들은 낯선 종이 자기들이 가장 좋아하는 목록의 것과 어떤 면에서 유사하다는 것을 알아차리곤 한다. 

  즉, 거의 무의식적으로, 우리는 일련의 기준에 의해서 식물들을 선택하고 있다.

  식물 디자인을 원하는 사람은 이것을 알아차려야 한다.: 그들이 좋아하는 리스트를 분석하려고 하면, 이들 기준을 볼 줄 알아야 한다.

  이것이 조합에 대한 디자인 결정을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첫번째 단계이다.

 

  개인적인 디자인 기준을 이해한다면, 이것은 시각적으로 흥미로운 식재를 어떻게 만드는지를 이해하는 가드너나 디자이너가 되기 더 쉽다.

  식물을 반복하는 것은, 리듬과 일체감의 느낌을 만드는 간단한 방식이다.

  조합을 반복하는 것은 이것을 강조할 것이다.

  꽃으로 반복하는 식재나, 또 다른 방식으로 해서, 알려진 계절동안 눈에 띄게 하는 특별한 방식은 강력한 인상을 만드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제5장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하이너 루츠Heiner Luz의 '계절별 테마 식재' 원칙은 이 아이디어를 활용한다.



2-1. 색상(색깔)  Color


  특히 다년생식물이 관련된 곳에서는, 색깔이 식재디자인의 논의를 지배하는 경향이 있다.

  많은 책이 쓰여졌고, 그들중 일부는 실제로 매우 훌륭한다.

  여기에서는 그것을 상세하게 논의하지 않으려고 한다.

  우리는, 특히 피에트Piet, 색깔에 너무 많이 관심을 가져서 열정(비용)paying을 지불하지 않기downplay를 바란다.  

  색깔은 전체의 일부로서 보여져야 한다.: 피에트가 말하기를 '구조structure 맨위의 한 레이어layer... 감정의 요소...분리된 것이 아니다.'

  일부는 과학적 증거에 기초를 가지고 있으며, 잘 알려진 색깔의 빠레트(운전대)wheel를 책에 대부분 삽입하여, 정원에서 색깔에 대해 어떤 색깔조합이 효과적인지 이유를 실제로 보여준다.

  하지만, 색깔은 특히 주관적이다.

  또한 이것은 날씨와 빛상태에 따라 많이 좌우된다.: 하루에 한 번 좋게 보이는 어떤 것이 다른 때는 거의 단조로울 수 있다.


  일년중 특정 시간에, 실제로 많이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

  온대기후에서 봄과 가을은 노랑과 보라-파랑에 의해 지배되는 경향이 있는데, 아마도 곤충이 빛파장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 일 것이다.(매우 좋은 이유일 것이다)

  가드너는 시즌동안 자연의 제안을 활용하도록 조언할 수 있다.  


  식물조합을 개발하기위해 색깔을 사용하는 것은 예전보다 지금이 확실히 덜 중요하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의 대부분을 지배한 가드닝은 크고 화려한 꽃을 위해 길러진 교배종이나 식물의 선택에 크게 의존했다.

  이들의 병치juxtaposition는 이를 보는 사람들로 부터 강한 반응-좋아하거나 싫어하는-을 끌어내는 두드러진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런 반응에서, 다른 사람들은 강력하게 조화로운 색상조합을 만들려고 작업헸다.

  그러나, 현재의 트렌드는 색상을 덜 중시하는downplay 경향이 있다.

  가드너는 이제 구조structure와 질감texture을 더 많이 알고, 그래서 좋은 잎이나 형태form를 포함하는데, 대부분이 강한 색깔을 가지지 않는다.

  식물의 이런 측면을 정의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지만, 피에트는 말하길, '당신은 상세한 이유를 설명할 수 없는 독특한 존재로서 식물을 보았는지 알고 있다. 당신이 좋아하는 사람들을 만났을 때, 보통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없는 것처럼.' 


  자연주의적 식재naturalistic planting는 야생종이나 야생종과 매우 유사한 재배품종cultivar의 사용을 촉진시키는데, 꽃의 크기가 식물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이전의 식재스타일과 비해, 이런 유형의 식재는 모두, 더 많은 녹색green과, 더 부드러운 엷은 갈색 음영soft fawn-brown shade, 더 중립적인 크림 흰색neutral creamy white을 포함한다. 

  이런 색상은 전반적으로 부드러운 효과도 주지만, 강한 색상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그 효과를 깨지 않는다.

 


2-2. 구조  Structure


  다년생식물을 디자인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색깔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는데, 정원이나 조경설계 모두에게 우드식물woody plants(목본식물)의 사용은 우선, 크기size와 형태form-기능적인 이유로 필수적으로, 두번째로 구조structure와 시각적인 질감texture이 더 많이 다뤄진다.

  다년생식물을 설계하는 디자이너들은 색상을 강조함으로써, 아마도 이들 식물이 오직 개인만을 위하거나 생대적으로 잘 관리되는 정원용으로 인식되도록 하고, 공공정원에서 다년생식물의 가치를 완전히 활용하는데는 실패하도록 했다.

  이런 상황은 변화고 있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겨울과 시즌적 흥미season interest을 벗어난 다른 것으로써 다년생식물의 잠재력 이해도가 성장하기 때문이며, 여기서는 구조/질감은 색깔보다 더 중요하다.


  이것을 음식과 비교를 하는 것은 흥미로울 수 있다.

  대부분 사람들의 음식에 대한 미적aesthetic 경험-그들이 배고품을 느끼지 않고, 기능적인 욕구를 넘어서 음식을 얼마나 즐기는가-은 맛에 매우 깊은 기반을 둔다.

  그러나, 당신이 중국인이 아니라면, 다른 세상의 가장 복잡하고 정교한 요리중 하나에는 맛을 거의 느끼지 못한다.

  대신, 질감의 이해와 식사의 촉각적인 경험은 더 중요하다.

  맛에 너무 많이 집중하는 요리는 아마 틀림없이 여기에서 요령trick을 놓치고 있다.

  우리는 식재디자인과 지나친 색상의 강조를 이에 비유할 수 있다.


  색깔에 대한 강조는, 회색하늘과 상대적으로 시원한 날씨를 가진 북서유럽을 중심으로한 정원의 전통적인 큰 특성이다. 

  이는 전세계에 걸쳐서 정원에 영감을 주는 영국정원의 역사적 역할을 아마 반영된 것이며, 많은 식물들을 공급하는 네델란드 종묘산업의 중요한 역할이 이를 가능하게 했다.(프랑스와 벨기에, 독일 가드너들과 종묘장들의 기여와 함께)

  긴 생장기와 부드러운 빛, 북부유럽인들은 후반부의 수개월동안 정원에 색깔을 사용해서, 큰 미묘함을 감상할 기회를 가진다.: 또한, 시원한 조건은 뜨거운 기후에서 보다 꽃이 더 많이 오래동안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런 기회들은 추운 계절이 길거나 건조가 긴 곳에 적용하고자 하는 가드너에게 더 많이 제한된다.

  또한, 다른 기후지역은 색깔의 관심보다는 구조와 질감에 더 많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식물들을 가지고 있다.

  구조와 질감으로 디자인하는 것은 규칙에 덜 얶매여도 된다.- 초보자들을 위해 토론을 거치거나 첫단계를 제공할 색상 방식wheel이 없다.

  다년생식물들을 디자인하기 위한 기초적인 구조적 접근법은 우리의 첫번째 책에서 제시되었는데, 다년생식물로 디자인하기Designing with Perennials(1999), 이 주제의 다른 측면은 다른 곳에서 다뤄젔다.  

  여기에서는 단순히 몇가지 기본적인 원칙과 관찰을 설명한다.  


    

70% 규칙  The 70 percent rule


  식재디자인에는 몇가지의 일반적인 규칙이 있으며, 이것은 그것들 중에 하나인데, 독립적으로 작업하는 몇몇 실무자들이 이에 도달하고자 한다는 사실로 봐서 신뢰할  수 있다. 

  논의된 바와 같이, 다년생식물들은 분명한 구조적 흥미를 가진 것들과 그렇지 않은 것-채움식물filler plants로 언급됨-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둘을 대략 구조식물 7과 채움식물 3의 비율로 사용된다면, 가장 최적이다.

  - 구조식물Structure plants : 분명한 시각적 흥미, 최소한 가을까지 꽃이나 잎의 칼라에 의존하는 것과는 다름

  - 채움식물Filler plants : 오직 꽃이나 잎의 칼라만을 사용 : 시즌초기에 구조적 흥미는 있으나, 한여름 이후에 형태가 없거나 지저분해지기도 함

  책 끝에 있는 식물사전Plant Directory에서, 어떤 식물들이 구조적으로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피에트는 나타낸다.



식물 주도로 결정함  Being led by flora


  가드너나 디자이너는 작업이 가능한 범위가 무한하지 않다.

  이 이상적인 위치는 대부분 상쾌한 서부해안 기후에서 작업하는 것들이며, 이는 넓은 범위의 기후대로 부터 식물의 혼합과 결합이 가능한 지역이다.: 운좋은 사람은 유럽 북서부의 대서양에 접한 변두리에 살고 정원을 가진사람과, 일년내내 온도가 어느정도 같은 샌프란시스코만 주변 지역 지역에 사는 사람이다.


  각각 다른 환경은 특정 식물들을 제안하며, 주어진 환경에서 잘사는 식물들은 특정한 구조와 질감(과 실제로 잎의 색깔)의 특성을 공유하기가 매우 좋다.

  부지에 함께 식재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자신의 특정한 환경과 제한한 것들의 시각적인 테마를 인지할 필요가 있다.- 그런 다음에 실행한다.

  식물들의 잠재적인 범위를 제한하는 기후와 다른 환경요인들은, 특정한particular 구조적 유형의 전체적인 틀을 빈번히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부는 상황은 크고 부드러운 잎을 배제시킨다.

  만약 지역적인 자생식물의 사용이 강조된다면, 이것은 특정한certain 구조적 흥미의 수준를 잘 결정하게 될 것이다.:

  분명한 로제트형태를 가진 폭이 넓은 식물들은 남반구에서 발견된다는 것을 생각해라.

  서식지는 진화적 적응이라는 아주 훌륭한 이유로 인해서, 식물형태와 질감을 분명하게 특징지으려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좋은 질감의 잎을 가진 둥근형태들hummocky shape은 건조가 가장 중요한 이슈인 환경에서 전형적이며, 이는 북유럽이나 대륙남쪽의 끊임없는 여름 태양에 노출된 부지의 바람들이다. 


  자체- 의도된 자연주의적 미학aesthetic은 또한 특정certain 구조를 요구한다.

  특히, 그라스와 그라스같은 식물들이 온대지역에서 개방된open 서식지를 많이 점령한다는 사실은, 자연주의에서 어떤 시도들이 그것들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뉴역의 하이라인 같은 프로젝트는 특히 분명해 질 것인데, 이곳에서는 그라스들이 중요한 혼합요소의 일부이다.



조화와 대조    Harmony versus Contrast


  이것은 식재디자인에서 기본적인 긴장tension이다. - 그러나 긴장은 종종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디자이너와 가드너는 대조의 표현으로 바꾼고, 다른이는 조화의 생성으로 바꾼다.

  이 차이는 보통 색깔에 대한 언급에서 표현되지만, 또한 구조에서 두원칙 모두를 설명할 수 있다.

 

  온대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종들은 식물 모양의 빠레트palette로서 형태의 큰 유사성을 가져서 '너무 많은' 구조를 가지는게 어렵다.:

  관목들은 다소 비정형적인 모양을 가지려고 하고, 많은 수의 우드식물woody plants 과 다년생식물 둘다 작은 잎을 가져서, 산란하고 뚜렷하지 않는 외형을 만든다.

  다른 기후들은 종종 형태가 더 다양한데(형태의 범위가 더 큰데), 로제트rosette와 첨탑spiky 형태 같은 것은 계절적으로 건조한 북미기후와 남반구의 많은 온대지역 서식지에서 나타난다.

  열대와 열대에 가까운 기후는 식물형태와 잎 형태와 크기에서, 더 많은 선택을 할 수 있다.(더 많은 선택 규모의 전체적인 순서를 제공한다.)- 실제로, 더운 기후의 식재디자인은 필연적으로 구조를 가지고 시작하고, 두번째로 색상을 고려한다.  

  온대지역의 가드너와 디자이너는, 오케스트라에서 이국적으로 보이는 악기를 추가해서 식재를 연주하려고 하는 데 언제나 갈증이 있었다. 

  대담성을 가진 위험한 게임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이런 실험을 고무시켜주는 기후의 장소는  필연적으로 가드너들에게 식물구조를 더큰 조합으로 작업하도록 부추긴다.

  단점은 때때로 그들 형태의 폭넓은 변화로 인해서, 눈에 지나친 식재가 된다는 것이다. 특히, 뾰족하거나jagged, 첨탑형태spiky나 직립형태가 너무 많이 사용된다면.

 

  온대지역에 사용되는 그라스의 구조structure 범위는 넓지만, 형태는 거의 바뀌지 않는다.: 이들은, 약간의 '푸딩의 과익음'의 두려움을 가지고 관목과 다년생식물들 사이에서 흥미를 만드는데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장식용 그라스ornamental grass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에 있는 온대기후 지역의 가드너 사용되어, 다년생식물 식재디자인의 핵심관점에서 색상 대안으로서 구조structure를 진정 탐구하도록 한다.: 이들을 널리 사용하기 전에는 어떤 제한된 구조적인 선택이 있었는지를 깨닫기 위해서, 이들이 없는 작업을 상상해보라.

  그라스이외에, 가장 중요한 구조적인 요소는 수직적으로 뻗는 한 줄기이다.the single vertically thrusting stem

  동일하고 강한 수직줄기의 반복은, 식재에서 자주사용하는 단위체stamping unit를 위해 매우 강력한 장치가 될 수 있는데, 특히 이들 대부분이 개화후에 생기는 강한 씨앗덩어리seedhead가 훌륭한 시간적 연속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식물들이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면, 이들을 가지고 크거나 작은 대조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화를 표현하는 것은 좀더 상상력이 필요하다.

  형태의 반복은 여기에서 아마도 중요한 핵심이다. 특히 그라스.

  정원이나 경관에서 점점히 심겨진 그라스에 대해선 부드럽고 편안한 무엇이 있는데, 이는 부드러운 형태에 반복되는 감응이나 이들 봉우리head에 의해 만들어진 일련의 통일감unity중에 하나이다. 억새처럼, 자주부는 바람의 방향으로 모두가 같은 방식으로 놓이게 된다.

  조화는 작은 둥근형태hummock에 의해 강력하게 표현될 수 있다. Lavandula 이나 Hebe, Artemisia 종 처럼 소관목subshrubs을 형성해서.



2-3. 빛   Light


  현대 식재는 빛을 재생playing하기 위한 가능성을 크게 열었다.

  전통적인 화단border은 주로 전방에 빛을 줬고, 색상의 평면적인 덩어리block 역할을 강조했다.

  최선을 모습을 보이기 위해 백라이팅이 필요한 식물들은, 특히 키가 큰 그라스 매체, 심각하게 불이익이었다.

 

  빛의 품질은 위도와 년단위의 시간에 매우 많이 좌우된다.

  어떤 장소는 그들의 빛의 양(광량)이 풍부한데, 지역의 지리적이고 기후적 조건의 조합을 해석하는 것은 종종 어렵다.

  장소에 대해 구체적인게 없이 빛에 대해서 언급하는 게 불가능 때도 있다.


  ..... 이하 생략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