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과 다른 식물의 관계맺기
THE VERTICAL LAYERS (수직 층)
함께 언급된, 기술된 세가지 시스템은 디자이너에게 식물을 선택하고 조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모두는 식물 중심의 모델이다. :
우리의 목적은 단순화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이들 시스템 모두 가장 관련된 것을 추출하도록 한다. 우리는 타입이나 유형으로서가 아니라, 부지에 순차적으로 첨가되는 일련의 층으로서 식물에 대해서 생각하였다. 층들은 건물들의 층처럼 수직적으로 정리되어 있고, 부지에 조합 준비가 될때가지 각각 분리되고 구분되어 있다. 식물선택의 과정은 가장 크고, 가장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층부터 시작하고, 점점 더 낮고, 더 기능적인 층으로 아래로 움직인다. 위의 식물 전략 시스템은 ...
그러나 특별한 층을 설명하기 전에, (디자인과 기능적인) 두 층의 카테고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Design Layers (디자인 층)
디자인층은 군집내에서 가장 크고, 가장 시각적으로 지배적인 종을 말한다. 이들은 경관에 대한 당신의 인상을 형성하는 식물이다. 이들은 고유한 형태(건물), 높이, 대담한 색상과 질감에 당신이 관심을 갖도록 해준다. 디자인 층은 전형적으로 나무, 주된 관목, 그리고 키가 큰 다년생 식물과 그래스를 포함한다. 이들은 상록수 또는 크고 아래로 늘어지는 그래스같은 고유한 구조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또한 식재에서 큰 계절적인 움직임이 나타나도록 한다.- 가을 초지에서 아스타로 부터 색이 나타나고, 산속의 계류 뒤에서 한 덩이이 철쭉이 꽃피는 것거첨-
이층에서 식물들이 가장 시각적으로 두더러진 동안, 이들이 식재에서 언제나 가장 많은 퍼센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이유는 디자인층의 목적이 시각적으로 즐거운 원예적 효과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생태적 기능을 가지지만, 시각적 디자인 포인트의 초첨은 미학적 정렬이다.
Funtional layers (기능 층)
기능적인 층은 낮게, 지면을 덮는 좋의 혼합으로 설명된다. 더 시각적인 디자인층과 달리,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것의 목적은 땅을 잡고, 해충 침입을 막기위해 빈공간을 채운다. 이것들은 다소 안정적인 조건을 만들어, 상부층의 다년생 종들이 정착되도록 해준다. 이것은 낮고, 구릉지 식물로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 내음성이 있다. 지면층 식물은 진정 구석지고 틈새 식물이며, 이것이 기능적인 이유이다. ...
디자인 층의 가독성, 기능 층의 다양성 (p.170)
디자인과 기능 층사이의 구분을 이해해는 것이 미와 기능과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미학적으로 즐거움을 주는 디자인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할 수 있다. 디자이너는 디자인층에서 식물을 사용하여 패턴이나 감동적인 계절적 순간을 만들기 위해서 유연성이 크다.: 그동안, 지면층에서 잘 보이지 않는 식물은 다양성과 생태적 기능을 제공한다. 식재 디자인에 대한 우리의 바램은 디자인층에서 가독성, 기능 층에서 다양성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독일의 조경가 하인 루즈는, 매우 매력적인 매스에서 많은 수량의 계절 테마식물을 사용해서, 큰 규모의 스케일에 가독성을 높이는 디자인 전략을 개발했다. 그녀의 컨셉 '경관 만드는 식물의 원칙'은 연속해서 피는 계절적으로 화려한 테마 식물을 세가지에서 여섯가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녀는 지엘파크 디자인에서 이른 계절(봄)에 칼라를 분출하기 위해 살비아와 아이리스 층을 만들었다.: 후에는 아스터(국화)와 ...는 다른 광경을 만든다. 이들 테마 식물 근처에는 패랭이와 스티파 페나타(그래스류)와 같이 보조적인 저경쟁 식물이 지면을 덮고, 미묘하고 복잡한 칼라와 질감을 더 많이 제공한다.
아마 우리가 언급한 다른 식물디자이너보다 더 많이, 루즈는 디자인과 기능 층의 균형을 맞춘 마스터이다. 루즈는 '큰 스케일에서는 통일성, 작은 스케일에서는 다양성'(uniformity in the large-scale and variety in the small scale)을 모도로 사용하여, 극적이고 큰 규모의 스케일의 디자인층을 만들기 위한 접근을 설명하며, 반면, 작은 규모와 지면을 덮고 있는 층에서 생태적으로 중용한 다양성을 가져온다.
디자인과 기능층사이의 구분이 명확할때, 우리는 식물군집에서 다양한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자인층에서, 우리는 시각적으로 주된 종을 정한다(구별한다.). 기능층에서, 이것은 지면을 덮는 종이며, 진정한 군집을 식재하도록 만드는 종이다.
|
층 |
구성비 |
사례 |
설명 |
디자인 층 |
구조/ 형태 식물군 |
10~15% |
|
식재에서 시각적으로 형태를 형성하는 큰 식물들. 이것에는 나무와 관목, 직립형 그래스류와 다년생, 잎이 넓은 다년생을 포함한다. 이층에서 식물들은 뚜렷한 형태를 가지고 다년생이다. 식물들은 경쟁자 또는 스트레스내성종이 된다. |
|
계절 테마 식물군 |
25~40% |
아스타, 아이리스, 철쭉,샐비아, ... |
화색이나 질감으로 계절별 시각적으로 자치하는 중간높이의 식물들. 꽃이 피지 않았을 때, 이 층의 식물들은 구조식물에 녹색을 유지해주는 동료가 된다. 길거나 중간정도의 생명주기. 식물들은 군식하거나 비군식하며(떠돌며) 성장한다. 경쟁자들, 스트레스 내성종, 황무지식물이 이 분류에 적합하다. |
기능 층 |
지면 피복 식물군 |
약 50% |
칼렉스 |
키가 작고, 내음성의 종들은 다른 종사이에서 지면을 덮는데 사용된다. 지면 피복, 침식 방지, 꿀의 원료로서의 기능. 식물들은 땅속줄기가 된다. 스트레스 내성종 |
|
충전 식물군 |
5~10% |
|
일시적으로 간극을 체우고 계절적으로 짤게 연출할 수 있는 황무지식물과 단년생 종. 식물들은 빨리 자라고, 경쟁자에게 견디지 못한다. 1년생, 2년생 그리고 단년생 식물 |
그림 1 설명
평면도Plan view: 지피층이 촘촘한 것처럼 보인다.
입면도Section cut: 맨흙을 드러내 준다.
투시도Perspective: 맨흙의 분포 정도를 보여준다.
그림 2 설명
식물군집 설계에 나타난 층위들
구조 층위Structural Layer
계절별 주제 층위Seasonal Theme Layer
지피식물 층위Ground Cover Layer
※ 출처: Rainer & West. 2015. Planting in a Post-wild World. Timber Press
'2. 식재 디자인 > [식재]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 디자인의 5대 원리 (0) | 2016.02.10 |
---|---|
식물로 공간 디자인하기 (0) | 2016.01.06 |
식물, 층의 개념으로 디자인하기 (0) | 2016.01.02 |
(박상길) Planting in a Post-wild World 일부 번역 (0) | 2015.12.11 |
★공간감 연출을 위한 마운딩의 구분과 적용 (0) | 2015.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