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인공지반, 옥상녹화&조경122 [옥상녹화] 식물선정 옥상녹화 식물선정.pdf 2016. 5. 16. [수직드레인] 설치사례 수직드레인 설치사례 출처 : http://blog.naver.com/hwang121717/220602254806 2016. 5. 9. ★[세덤] 피복력 비교 옥상녹화에서 세덤의 피복력 비교 ※ 출처 : 김인혜와 허근영 (2015), 저관리형 옥상녹화시스템에서 지피식무로서 세덤의 피복력 평가 ★저관리형_옥상녹화시스템에서_지피식물로서_세덤(Sedum)의_피복력_평가.pdf 11종의 세덤류 피복류 비교 평가 - 아크레, 알붐, 기린초, 땅채송화, 바위채송.. 2016. 5. 4. 우리꽃농장 (세덤류 판매) 세덤류 판매 현황 우리꽃농장 답사 세덤매트 생산현황 (촬영: 2016.4.27) 설명 애기기린초 설명 섬기린초 설명 단풍세덤 = 세덤 스푸리움 설명 푸른옥바위솔 설명 애기세덤 설명 블루애기세덤 설명 애기세덤과 블루애기세덤 설명 파랑세덤 = 루페스트레 세덤, 블루세덤 설명 큰꿩의비름_만.. 2016. 4. 28. ★[옥상녹화] 토양함수 변화의 이해 옥상녹화 토양함수 변화의 이해 1) 토심이 50cm인 경우 (자갈배수층 20cm 미포함) ① 잔디로 피복된 부분 (10일간 관찰) 건조가 진행되면, 전층에 걸쳐서 수분이 감소하는 것이 특징 --> 건조 초기에는 잔디면에서 일시적으로 증발이 억제되지만, 10일후에는 증발산이 더해져 균일하게 건조됨.. 2016. 3. 23. 옥상녹화 배수처리사례 옥상녹화 배수처리 사례 (건축벽으로 타고 내려가는 누수를 원천차단하고자) 건축벽에 바로 붙지 않도록 화단형태로 조성 L-16 관리동 옥상조경.dwg L-16 관리동 옥상조경.pdf 2015. 11. 24. 옥상녹화사례_아파트 옥상녹화사례_아파트 엠코 2015. 11. 24. 인공지반 토심 법규 검토★ 인공지반 토심 법규 검토 검토 : 2014. 10. 21. 법 률 토 심 상 세 조 문 비 고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0.9m이상 제29조(조경시설등) ③ 조경을 하고자 하는 부분의 지하에 주차장등 지하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식재에 지장이 없도록 두께 0.9미터 이상의 토층을 조성하여야 한다.<.. 2015. 11. 11. [녹화효과] 비교(온도 낮춤) 옥상의 녹화 효과 비교(온도 낮춤) 나온 결과를 종합해보면, 옥상의 표면온도를 낮추는데는 관목 > 수목 > 잔디 > 세덤 > 나지 > 음지슬래브 > 양지슬래브 순으로 효과가 있다. ※) 출처 : 알아야할 옥상녹화의 Q&A 콘크리트벽으로 둘러싸인 옥상은 하절기 일사에 의한 축열이나 .. 2015. 8. 13. ★보호층에 대해서.. ※ 출처 : 알아야할 옥상녹화의 Q&A Q11 옥상녹화로 건축물이 보호된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 직접 외력을 받지 않고, 일사·대기가 닿지 않으므로 하부 방수층이나 옥상 슬래브가 보호된다. ○ 보호효과를 발휘하는 구조 일반적인 옥상의 구조는 옥상 슬래브위에 방수층이 있으.. 2015. 8. 13. 방수층의 분류와 특징 방수층의 분류와 특징 알아야할 옥상녹화 Q&A 방수의 종류.hwp 분 류 특 징 비 고 아스팔트 방수 현장에 아스팔트 용해로를 설치하고, 250℃ 정도에서 녹인 아스팔트를 붙이는 공법. 시공 때 연기와 냄새가 나지만 신뢰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보호콘크리트를 사용한다. 식물뿌리에 대한 저항.. 2015. 8. 13. 암거배수공-매설깊이와 매설간격 암거배수공 매설깊이와 매설간격 출처: 김형주 등(1998) 최신토목시공법, 야정문화사, 332-335 맹암거 간격에 대한 계산 ... 2015. 8. 1. 수목의 무게 수목의 무게 출처 : 코시미즈(1985) 건축공간의 녹화수법 82-83 34. 수목의 무게 (1) 뿌리분의 무게 수고가 4~5m까지 그다지 지엽(가지와 잎)이 무성하지 않고, 줄기가 가는 나무의 경우는 그 무게의 대부분을 흙을 포함한 뿌리분이 차지한다. 이식재료로서 수목을 운반할 때, 가벼운 것은 근원부.. 2015. 7. 29. ★인공지반의 배수 인공지반의 배수 출처: 코시미즈(1985) 건축공간의 녹화수법, 88-89 37. 옥상의 배수 (1) 배수의 중요성 건물옥상은 강수 등의 유입수가 있는 경우, 빠르게 배제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특히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더욱 강하게 요구된다. 도시근교에 자연지반을 조성해서 집합주택을 건설하.. 2015. 7. 29. 수고 6m의 나무는 4m3의 흙이 필요하다. 높이 6m 나무는 4㎥의 흙이 필요 출처: 코시미즈(1985) 건축공간의 녹화수법, 50-51 수목을 심을 수 있는 공간적인 여유가 있고, 그 후 잠시 동안의 생장도 건강하기 위해서 흙의 양이 얼마나 필요한 가를 알고 싶다. 심는 나무의 크기에 따라서 필요한 토량은 다른데, 수고1~2m의 작은 재료의 .. 2015. 7. 28. ★인공지반과 토양수분 변화의 관계 인공지반 & 토양수분 변화 인공지반내 토양수분변화 관찰 01. 토심이 2m이상인 경우 여름철 혹서기에 2m 인공지반(하부에 지하주차장)과 자연지반의 토양수분 변화(비온 뒤 1,5,7일 경과 마다 조사)를 살펴본 그래프이다. 둘다, 지표에서 50cm까지는 큰 변화(건조화)가 발생한다. --> 수목뿌.. 2015. 7. 27. 인공지반 녹화 사례사진 옥상녹화사례 토심이 낮은 인공지반위의 세덤 녹화 아래 사진은 기린초가 콘크리트벽 구조물의 근처에서 생육이 좋다. (이는 콘크리트벽 근처가 수분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 등) 저관리형으로 별도의 관수시스템이 없는 케이스임 2015. 7. 20. 목재의 생중량을 구하는 방법(검증방법) 목재의 생중량을 구하는 방법(검증방법) 1) 일본의 함수계수가 있음 --> 건조중량에서 생중량을 구하는 함수계수 생중량 = 건조중량* 함수계수 --> 함수계수의 우리나라 적용의 적절성 검증이 필요 --> 이는 우리나라의 수종의 평균 생재함수율을 통해서 유추 가능 함수율 M(%) = (Wg-Wo) /.. 2015. 7. 7. [스크랩] 굴취수목 중량계산 ▒ 굴취 수목의 중량계산(분의 형태는 조개분 모양을 기준으로 수식작성) 조개분이란.. 분을 다듬을 때 수목의 근원직경을 d로 보았을 때 분직경은 4d로 만들며 2d(근원직경의 두배)만큼 지면과 수직으로 다듬고 다시 수간의 중심부를 향해 2d(근원직경의 두배)의 깊이만큼 다듬지만 둥근 .. 2015. 7. 6. 옥상녹화 설계기준 옥상녹화 설계기준 국토해양부고시(제2012-544호) 원본파일 건축물 녹화 설계기준_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544호 옥상녹화시스템 설계 및 설계도서 작성지침_서울특별시_2013 건축물_녹화_설계기준(국토해양부)2012.hwp 옥상녹화시스템 설계 및 설계도서 작성지침(서울시)2013.pdf 01.건축물 녹화 .. 2015. 7. 2. 인공지반내의 뿌리 인공지반내의 뿌리 (사례사진) ※ 자료출처: 수목근계도설 2015. 7. 1. ★대형목식재(슬래브위)에 대한 기술적 검토 대형목식재(슬래브위)에 대한 기술적 검토 작성중 고민의 출발점.. - 분의 크기는 적절한가 : 이론적인 것 & 실제 반입된 분 모양 비교 설명 - 식재 토심은 얼마나 확보해야 할까 : 어떤 개념으로 적용하는 가(슬래브위 놓기, 배수층위에...) - 구조적으로 안전할까 - 구조는 어떤관점으로 해.. 2015. 6. 26. 나무무게 산정 공식(일본자료) 나무무게 산정공식 ※ 자료출처: 최신수목근계도설 나무무게 산정공식_수목근계도설.pdf 느티나무 (ケヤキ) 소나무 (アカマツ) ※ 해석방법 예) 소나무 R50 (B42) - 지상부중량(Y4) = 식4, --> -6,522 + 437.4857 (3.14 * 42^2)/4 = 599.281kg(건중량) --> 599.281* 2.4032(함수계수) = 1.44ton - 지하부중량(Y11)= 식4,.. 2015. 6. 24. ★나무무게 산정공식 비교 나무무게산정 공식 ※ 자료출처 1) 조경공사 적산기준, 2010, (건설협회 조경위원회,조경사회 공저) 나무무게산정.pdf 2) 조경설계기준_2013. 한국조경학회 수목의중량(조경설계기준_조경학회.pdf 수목하중(인공지반)_(조경설계기준_조경학회).pdf 1) 조경공사 적산기준, 2010, 건설협회 조경위원.. 2015. 6. 23.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