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공간디자인/[공간] 디자인

치유조경설계/공동주택

by 장선생! 2017. 3. 21.

 

유환경 개념을 반영한 공동주택 조경설계

치유조경설계 / Healing Landscape

 

 

 

 


 

 

 

01. 옥외공간의 기능적인 치유환경 요소(6항목)

 

 

 - 안전한 환경요소, 치료적 환경요소, 보조적 환경요소, 지남력 강화 환경요소, 쾌적성 환경요소, 사회적  환경요소으로 구분

 

 

 

 

02. 치유조경의 계획요소(7항목)

 

 - 공간계획, 동선계획, 포장계획, 수경계획, 식재계획, 시설계획, 프로그램


 

계획요소

세  부  내 

비고 

1. 공간계획

 자연속 산책이 가능하고, 범죄로부터 안전, 풍부하고 다양한 휴게시설이 있도록 계획

 

2. 동선계획

 외부로 부터 동선분리, 건강증진을 위한 산책, 지압로, 흙길 등 자연감상이 가능한 동선

 

3. 포장계획

 위험에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인공재료보다는 자연형 재료로 계획

 

4. 수경계획

 잔잔한 물 공간을 조망하는 사색 가능한 물시설, 분수 등 깔끔하고 도식적인 물시설로 계획

 

5. 식재계획

 계절감을 느낄수 있는 수목 식재, 촉각 미각 후각을 자극하는 식물 식재, 풍부하고 다양한 식물식재

 

6. 시설계획

 취약계층을 위한 안내판, 강설시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쉘터 및 이동가능한 벤치

 

7. 치유프로그램

 휴식,명상을 취할 수 있으며, 요가, 산책 등 가벼운 운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

 

 

 

 

 

03. 공동주택단지의 공간유형

 

(공동주택단지내 공간유형의 물리적 특정에 의한 치유 조경계획을 적용할 수 있는 대상)

공동주택단지 공간유형- 단지출입구(영역), 내외부 전이영역, 외부활동영역, 테마별 공간영역

 

 공 간 분 류

특  징

기  능

필 요 요 소 

비  고

단지출입구

-아파트 내외부공간의 전이영역

-상징적인 전시영역 

-브랜드 이미지

-길의 흐름과 방향 유도 

-상징성

-길의 흐름과 방향유도

 

내외부 전이영역

-건물의 내외부 전이영역

-소셜 커뮤니케이션지역으로 사용

-중요한 활동 공간의 기능 

-전이 지역 

 

외부 활동영역

-중요한 할동지역

-능동적/활동적 공간

-편안한 분위기가 필요

-다양한 공간기능을 담당

-상징적인 요소/인자

-기능적으로 공간적인 요인/인자 

 광장영역, 휴게영역, 놀이영역, 운동영역

테마별 공간영역

-휴게지역, 산책길, 운동영역을 연결

-다목적 공간

-아파트 단지의 주요한 차별화 요소

-소셜 커뮤티케이션 영역

-계절의 변화를 볼수 있고, 편안한 분위기

-휴식이나 여유지역의 주변경관 

 

 감각정원, 치유정원, 참여 및 체험정원 

 

 

 

 

04. 치유공간의 특징

 

국내외 사례를 토대로 치유 적용공간의 특징은 (병원, 요양원, 노인보건센터 등)

 

1) 시설의 입지이다.  치유의 대상이 특정인 또는 일반인 등 어느 한쪽에 국한되지 않고, 자연조건이 우수한 지역 주변에 입지하고 있다. 도심의 경우, 대규모 공원에 인접하거나, 교외의 경우 대규모 자연녹지와 연계되어 정원, 공원이 위치하고 있다.

 

2) 치유 또는 힐링의 효과를 위해 외부와의 단절을 유도하고 있다. 정서적,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의 살마들에게 단계적인 소통이 가능하도록 오픈 정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마련해 주고 있다.

 

3) 다양한 형태와 소리를 갖는 수경 요소의 도입이다. 공간의 규모와 상관없이 물의 움직임과 투영, 소리 요소는 힐링의 기본요소이다.

 

4) 동선형태는 회랑형이 많다. 회랑의 중심공간으 호수나 잔디광장 등 수평의 오픈공간이 있고, 세부 동선으로 원로의 높낮이나 굴고, 열리고 닫힌 시야를 통해 내부공간의 깊이와 변화감을 유도한다.

 

5) 자연속의 사적공간이다. 프라이버시가 강한 위요된 공간으로 커뮤니티보다는 정적인 혼자만의 공간이 나타났다.

 

6) 다양한 감각으로 자연의 경험이다. 인간의 오감을 통해 자연과의 접촉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치료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7) 식재계획으로 기존 수종을 최대한 활용하며, 중심이 되는 공간은 잔디나 지피, 화훼류를 활용한 오픈식재, 외곽이나 경계부는 침엽이나 교목을 활용한 차폐식재, 물요소 경계부의 수경식재, 화단식재 등을 적용하였다.

 

8) 자연과 자연스럽고 무리없는 공간을 위해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이다. 휠체어나 거동이 불편한 이들의 편안한 이용이 가능하도록 인공시설의 규격이나 높이, 경사 등 세심한 배려를 하고 있다.

 

 

 

 


 

 출처   천현우와 이시영(2016), 공동주택에서 치유조경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4(5)

          06403609.pdf 

 

06403609.pdf
0.62MB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