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호르몬 정리
종류 |
생성위치 |
이동방식 |
역할 |
비고 |
옥신 |
줄기끝의 분열조직 눈과 어린잎 미성숙 열매 |
유세포를 통해 이동 (목부, 사부 x) -에너지를 소모 -아래로만 이동 (구기적, 구정적) -ATP생산(광합성)이 억제되면 옥신의 운반이 중단된다 |
●직경생장 -봄철에 눈에서 생성된 옥신이 밑으로 이동하여 형성층의 세포분열(직경생장)의 시작을 유도함 ●뿌리의 생장 -줄기(어린잎,눈)에서 생성된 옥신이 뿌리로 운반되어 뿌리의 생장을 촉진 (어린잎, 눈을 제거하면 측근의 형성이 억제됨) -지상부의 잎을 제거하거나 수간의 박피, 병충해에 의해 잎이 피해를 받으면, 뿌리의 신장생장이 정지한다. ●정아 우세 -정아에서 생산한 옥신이 측아의 생장을 억제한다. 정아를 제거하면 측아가 곧 생장한다.(정아가 옥신을 생산함으로써 영양분을 정아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영양분을 독점하기 때문에 측아의 발달이 둔화된다고 생각할 수 았다.) ●줄기(새가지)의 신장생장 |
줄기생장 직경생장 뿌리생장 |
지베렐린 GA |
눈과 어린잎 미성숙 열매 뿌리끝 |
목부와 사부를 통해서 위아래 양방향으로 이동 뿌리에서 생성된 것은 목부를 통해서 줄기로 운반 |
●줄기(새가지)의 신장생장 -자라고 있는 어린잎에서 생산된 GA는 밑의 줄기의 신장생장을 촉진하며, 어린잎을 제거하면 줄기의 생장이 정지된다. ●줄기의 직경생장 -봄철, 어린잎에서 생성된 GA가 휴면상태의 형성층이 세포분열을 시작하도록 유도 -봄철, 뿌리에서 생성된 GA가 줄기생장이 시작되도록 자극 |
줄기신장 직경생장 |
사이토키닌 |
뿌리끝 (어린잎,열매_추정) |
뿌리의 목부조직을 통해서 상승 줄기내의 이동x (잎, 종자, 열매에 축척된 사이토키닌은 이동하지 않는다) |
●세포분열을 촉진_ 실험실 배양에서 (사이토키닌의 함량이 높으면 줄기로, 옥신의 함량이 높으면 뿌리로 형성) ●노쇠지연 -뿌리가 생육에 불리한 환경에 놓이면, 사이토키닌의 함량이 감소하며, 이로 인해 줄기의 생장이 영향을 받는다. 특히 한발이 계속되거나 뿌리가 침수상태로 장기간 방치되면 뿌리에서 사이토키닌의 공급이 감소하여 노엽이 먼저 낙엽현상을 보인다. -사이토키닌이 이의 노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사이토키닌이 주변으로 부터 영양분을 모아들이는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어린잎은 성숙잎보다 사이토키닌함량이 더 많이 때문에 성숙잎에서 영양분을 빼앗아 올 수 있다.) |
세포분열 |
에브시식산 ABA |
뿌리 |
목부를 통해서 잎으로 운반해서 기공을 폐쇄 |
●스트레스 감지 -수분스트레스를 받으면 잎의 ABA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기공폐쇄가 일어남, 효과는 2~3일간 계속 -뿌리중에서도 표토 가까이 있는 뿌리끝에서 먼저 수분스트레스를 감지하여 ABA를 생산하여, 잎으로 신호를 보낸다. -수분스트레스 이외에 고온, 침수, 무기영양 부족 등의 스트레스를 받으면 ABA의 양이 증가하여 생장이 정지된다 |
기공폐쇄 생장정지 |
에틸렌 |
살아있는 모든 조직 (줄기, 잎, 꽃, 뿌리)
|
기체이며, 수용성이 아니기 때문에 수액을 통해 이동X, 빠른 속도로 세포간극이나 빈 공간을 통하여 확산되어 전 조직으로 쉽게 이동 |
줄기,잎,뿌리의 신장생장을 억제 ●침수된 경우 뿌리가 침수되면 뿌리에서 생성된 에틸렌이 뿌리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줄기로 이동하여 독성을 나타냄 -잎의 황화현상, 줄기의 신장억제, 줄기의 비대 촉진, 잎의 상편성장, 잎이 시들면서 탈리현상, 뿌리의 신장 억제, 병균에 대한 저항성이 약해짐 ●줄기 뿌리의 생장 억제 줄기, 엽병, 뿌리의 신장생장을 억제 -종축 방향의 신장을 억제하는 반면, 비대생장을 초래하여 그 부위가 굵어진다. |
|
봄철 형성층의 신장개시는 눈에서 생산된 옥신에 의해 시작되면, 어린잎에서 GA가 생산되어 형성층의 세포분열을 자극하는데, 옥신과 GA의 작용은 상승효과가 있다.
'3. 수목생리&시공&관리 > [수목] 생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수목진단&조치_목차 (0) | 2016.09.13 |
---|---|
[책] 식물생리학 정리 (0) | 2016.09.12 |
수목의 고온피해_엽소&피소/ 풍해 (0) | 2016.06.08 |
조경수관리-토양 (펌) (0) | 2016.04.25 |
건조와 과습의 증상 (0) | 2016.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