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반의 배수층 현황
자료출처 : 강명수외 6 (2014), 공동주택 인공지반 녹화환경 개선방안 연구(1),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사진설명 슬래브 방수마감처리(누름콘크리트) 후, 상부에 물고임현상_ 장스판의 경우, 누름콘크리트만으로 표면경사(구배)를 잡는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다.
사진설명 선후공정 추진을 위한 공사적치물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므로,
전면자갈배수층 조성은 현장내에서 한꺼번에 시공되는 것이 아니라, 구간별로 부분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부분시공으로 인해 단면 훼손될 가능성이 높아 통합주차장 슬래브 상부 전면이 연계된 배수층 조성이 쉽지 않다.
사진설명 순환골재를 배수층으로 사용할 경우, 골재크기가 일정하지 못해 배수를 위한 공극 확보가 상대적으로 불리하고, 내구성이 낮아 작은 충격에도 파쇄되기 쉬워 배수층내 공극감소요인으로 작용한다. 사용x
사진설명 자연지반과 슬래브가 접하는 부위로
슬배브위의 물이 집수가 되도록 구배를 잡고, 자갈층과 유공관을 통해서 집수를 하지만, 이 부위에 집수시설이 없다면 우수정체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사진설명 슬래브 상부에 토목구조물의 바로 접하여 기단부가 조성되는 경우, 전면배수층의 주된 단절요인이 되는데,
구조물 기단부에 홈을 만들어, 구조물 우수관내로 물이 이동되도록 하기도 하고
구조물 기단부에 원형관을 삽입하여 우수가 통과되도록 하거나 (조치유형1)
사각홈을 만들어 통과되도록 하기도 하고 (조치유형2)
자갈재 상부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배수층을 훼손하지 않기도 한다.
사진설명 슬래브가 건축동으로 위요된 case로
수직드레인 설치 없이, 전면자갈층 조성후, 식재지반내 매암거를 설치하고 집수정으로 유도,
외부 우수관과 연계한 경우
사진설명 일본의 경우로,
드레인 유형(수직, 수평)별로 유공관 관경에 따른 처리용량과 처리면적 기준을 나타낸 것임
지하주차장 상부 슬래브 배수경사확보가 배수효과에 큰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배수경사 및 배관구배에 따른 조치가 필요함을 암시하는 기준이기도 하다.)
'6. 인공지반, 옥상녹화&조경 > [인공지반] 배수&마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반(심토층) 배수에 대한 생각 (0) | 2016.12.22 |
---|---|
[배수] 인공지반 경계부의 배수처리 (0) | 2016.05.27 |
[수직드레인] 설치사례 (0) | 2016.05.09 |
★[옥상녹화] 토양함수 변화의 이해 (0) | 2016.03.23 |
방수층의 분류와 특징 (0) | 2015.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