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 관수&배수&포장/[포장]

에폭시와 우레탄의 차이점

by 장선생! 2014. 11. 28.

폭시 & 우레탄의 차이점

 

 

 


 

 

 

01. 네이버 지식검색

 

우선 우레탄과 에폭시의 물성적 차이점이라면 신축성을 들수있으며 용도적 차이로는 방수재와 바닥재라고 간단하게 설명할수 있습니다.

 

 에폭시는 상당한 경도, 강도, 내마모성 등을 지닌 바닥재로서 주차장바닥이나  물류창고, 공장바닥 등 유동인구 및 차량등으로 일어나는 지속적인 마모로 인하여  오염 및 분진의 발생을 지양하고 쾌적한 조업 및 공간활용이 용이하도록 시공하는소재입니다. 그러나 기준치 이상의 진동이나 노후가 심각하여 균열등의 발생이 많을 경우 별도의 추가 시공이 필요하며 특히 탄성이 없는 소재이므로 방수재 로서의 물성을 기대할수는 없습니다.

 

 우레탄은 하지면과의 접착력이 뛰어나 우수한 방수성을 나타냅니다. 고탄성의 신장율과 복원력으로 진동이나유동이 있는 바닥면에서도 도막한 부위가 손상을 입는 경우는 드물고 또한 시공이 간편하고 이음매가 없어 마감상태가 미려합니다. 그러나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 시공은 불가피합니다.

 

건축물 옥상의 기초con'c층과 비노출 방수층위 에 얹혀있는 보호mortar의 경우 상부의 구체에 상당한 유동이 발생할수 있으므로 신축줄눈을 시공합니다. 그런데 그 건축물에 노후로 인한 또는 외부적인 환경으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될시 당연히 신축성을 지닌 소재로 상부에 방수도막을 시공해야 할것인데 예를들어 탄성이 전혀없는 에폭시가 시공될경우 당연히 피도면에 발생되는 신축으로 인하여 에폭시도막에 균열 및 파단이 일어나게 되는것입니다. 그러므로 당연히 방수재로는 우레탄소재를 사용하는것이 맞겠죠^^  (의외로 전문가를 자처하시는 칠도하시고 뭐도하시고 뭐든 다하시는 분들이 이런 시공들을 많이 하셔서 피해를 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02. 유익한 블로거

 

 출처   블로그-프라이머

          http://blog.naver.com/successblue/20173024657

 

 

방수에서 에폭시와 우레탄의 차이점과 시공방법을 알려 주셔요
 

우레탄 제품과 에폭시 제품의 차이점은

탄성이 존재하는가.존재하지 않는가의 차이가 가장 큽니다.

 

망치 및 적당한 도구로

우레탄 과 에폭시 작업이 되어진 시공면을 내리쳤을때

 

다소 차이는 존재하지만

우레탄 시공면을 가격했을경우에는 깨지는 형태가 아닌

고무지우개처럼 짓눌러지는 상태가 되어지며

 

에폭시 시공면을 가격했을경우에는

유리처럼 유사하게 깨지는 형태가 되어집니다.

 

건축구조물의 마감형태가 시멘트계열 제품이 많이 사용되어지는데

시멘트계열 제품의 가장 큰 단점은 균열의 발생과 하중이 큰 단점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균열발생의 특성에 의해 누수문제가 발생되어집니다.

 

균열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누수문제는 발생되어지지 않다보니

이러한 균열을 방지하는 제품을 선택시공 하셔야 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제품이 우레탄 계열 제품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옥상부위에 방수용도로 사용하는 제품은 우레탄 제품이며

공장바닥 및 주차장 부위에

방수용도가 목적이 아닌 여러가지 이유로 에폭시 제품이 선택시공되어집니다.

 

우레탄 계열과 에폭시 계열 공사시 필요로 하는 제품에는

 

하도=프라이머

중도=라이닝

상도=코팅

신나=희석제

실란트=퍼티

위와같은 재료들이 구입되어져

 

바탕정리-하도-중도-상도 와 같은 공정순으로 마감되어지는게 일반적인 공정순이며

 

우레탄 방수공사시에는

하도-중도-상도와 같은 3 가지 공정으로 마무리 되어져야만

방수공사 완성도가 높아지게 되어지며 우레탄 중도 공정의 생략은 다소 불가능합니다.

 

에폭시 바닥공사시에는

하도-중도-상도와 같은 3 가지 공정으로 마무리 지어질경우

바닥공사 완성도가 높아지게 되어집니다만

 

공사예산상의 이유로

에폭시중도=라이닝 공정을 생략을 하고

에폭시 하도-에폭시 상도(코팅) 형태로도 작업은 가능합니다.

 

아래 내용 우레탄.에폭시 관련되어진 용어의 정리 참고하시기 바라며

좀더 많은 정보를 얻고자 하실경우에는

답변하단부위 "출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옥상 우레탄방수공사하는데

사용되는 용어 좀 쉽게 풀어 설명 부탁드립니다.

 

1.프라이머

 

우레탄 하도 제품을 "프라이머" 라 불리기도 합니다.

프라이머의 뜻은...

물체 표면을 부식이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이후의 도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해 물체표면에 최초로 도장하는것

 

2.하도,중도,상도

 

우레탄 방수공사시 반드시 3 공정으로 시공하는게 원칙입니다.

우레탄 하도제품은 시공예정부위 공기구멍의 차단의 역활과

후속공정인 우레탄 중도 제품과의 접착력을 증가시켜줍니다.

 

우레탄 중도제품은 우레탄 방수공사의 완성도를 좌우하며

도막의 두께를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우레탄 상도제품은 햇빛으로 부터 우레탄 중도 제품을 보호하는 역활을 합니다.

우레탄 상도제품을 우레탄 코팅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3.퍼티,실란트,빠데

 

각공정실시후 흠이 발생되어진부위 및 패인부분 및 수직 및 수평교차부위

보수 및 균열부위의 메꿈처리하는게 주된역활입니다.

 

4.우레탄실리콘과 실란트의 차이

 

퍼티.실란트.빠데.실리콘.실란트 위 용어들이 혼용되어져 사용되어지며

사용목적은 위 3 번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옥상바닥가는기계 명칭

 

평삭기.칩핑기.연삭기 기타 여러용어가 존재하는데

대략적인 용도는 시공예정부위 콘크리트 바닥부위에

이물질 제거 및 레이턴스 제거 및 기시공되어진 제품에 따라 선택 작업되어집니다.

 

시공현장 또는 설계작업시

아래와 같은 용어들이 혼용되어 불리워지고 있다.

 

가-1.옥상 우레탄 방수공사
가-2.주차장 우레탄 바닥공사
가-3.체육시설 우레탄 바닥공사

 

나-1.에폭시 라이닝 바닥공사
나-2.에폭시 코팅 2회 바닥공사
나-3.에폭시 3회 바닥공사
나-4.에폭시 페인트 바닥공사
나-5.콘크리트저수조 에폭시코팅 2 회 바닥공사
나-6.투명에폭시 라이닝 바닥공사
나-7.투명에폭시 코팅 2회 바닥공사

 

다-1.발포우레탄 그라우팅공사
다-2.에폭시 그라우팅공사

 

라.우레탄폼 방수공사
마.우레탄칩 바닥공사

 

혼용되어 불리워지는 용어들을.
제품의 화학적인 성분상 많은 차이가 있겠지만.
크게 가.~ 마.항목으로 나누어 볼수있다.

 

가-1.옥상 우레탄 방수공사.

 

1.우레탄 하도(1액형제품이며.콘크리트바닥용.철재바닥용.아스콘바닥용 제품 존재)
2.우레탄 중도(1액형.2액형 제품 존재)
3.우레탄 상도(2액형 제품이며 기본색상.녹색.회색.적색.흰색)
4.우레탄 희석제
5.우레탄 씰란트(1액형.2액형 제품 존재)

 

위와 같은 제품들을 적용하며 표준시공권고두께 T=3 mm공사가 원칙이며


우레탄 방수공사 완성도를 좌우하는 항목은
바탕정리 와 2번 제품 우레탄 중도 면적대비 정량투입이 공사완성도를 좌우한다.

 

가-2.주차장 우레탄 바닥공사.

 

1.우레탄 하도
2.우레탄 중도(경도의 차이에 의한 반경질.고경질.초고경질용 제품 존재)
3.우레탄 상도(2액형 제품이며 기본색상.녹색.회색.적색.흰색)
4.우레탄 희석제
5.우레탄 씰란트(1액형.2액형 제품 존재)

 

위와 같은 제품들을 적용하며 표준시공권고두께 T=3 mm공사가 원칙이며


2 번 항목 우레탄 중도 제품의 적용이 우레탄 옥상방수공사와 다소 차이가 있다.

 

우레탄 바닥공사 완성도를 좌우하는 항목은
바탕정리 와 2번 제품 우레탄 중도 면적대비 정량투입이 공사완성도를 좌우한다.

 

가-3.체육시설 우레탄 바닥공사.

 

1.우레탄 하도
2.우레탄 중도(경도의 차이에 의한 반경질.고경질.초고경질용 제품 존재)
3.우레탄 상도(2액형 제품이며 기본색상.녹색.회색.적색.흰색)
4.우레탄 희석제
5.우레탄 씰란트(1액형.2액형 제품 존재)

 

위와 같은 제품들을 적용하며 표준시공권고두께 T=7 mm/ T=5 mm공사가 원칙이며


체육시설(농구장.배드민턴장.테니스장) 적용시 우레탄 중도 제품 적용에 차이가 있다.

 

나-1.에폭시 라이닝 바닥공사.

 

1.에폭시 하도(2액형 제품)
2.에폭시 중도=에폭시 라이닝
3.에폭시 상도=에폭시 코팅
4.에폭시 퍼티
5.에폭시 희석제

 

위와 같은 제품들을 적용하며 표준시공권고두께 T=3 mm공사가 원칙이며

 

에폭시 바닥공사 완성도를 좌우하는 항목은
바탕정리 와 2번 제품 에폭시 중도 면적대비 정량투입이 공사완성도를 좌우한다.


3번 제품 내부시공시 생략가능하지만 외부시공시 생략불가능하다.

 

나-2.에폭시 코팅 2회 바닥공사 .

 

1.에폭시 하도(2액형 제품)
2.에폭시 상도=에폭시 코팅
3.에폭시 퍼티
4.에폭시 희석제

 

위와 같은 제품들을 적용하며 에폭시 라이닝바닥공사와 큰 차이점은


도막의 두께를 좌우하는 에폭시 중도 시공시 공정 생략에 의한
재료비부담으로 부터 자유로워 공사금액이 저렴한 반면


바닥상태 평활도가 불량한곳에 적용은 불가하며  훼손이 빠르다.

 

나-3.에폭시 3회 바닥공사.

 

1.에폭시 하도(2액형 제품)
2.에폭시 상도=에폭시 코팅
3.에폭시 퍼티
4.에폭시 희석제

 

위와 같은 제품들을 적용하며 나-2.에폭시 코팅 2회 바닥공사의 공정이
바탕정리-에폭시하도-에폭시 1회 코팅-에폭시 2 회코팅
위와 같은 순서로 시공되어지는데 위와 같은 시공방법을 혼용되어 불리워 진다.

 

나-4.에폭시 페인트 바닥공사.

 

에폭시 코팅 2 회 바닥공사의 용어의 혼용으로 생각되어지는데
에폭시 코팅 2 회 바닥공사로 사용되어짐이 좋을듯.

 

나-5.콘크리트저수조 에폭시코팅 2 회 바닥공사.

 

1.수용성에폭시 하도
2.수용성에폭시 상도

 

수용성에폭시 제품을 적용한
바탕정리-에폭시하도-에폭시 1회 코팅-에폭시 2 회코팅

 

1.콘크리트 저수저용 에폭시 하도
2.콘크리트 저수저용 에폭시 상도
3.에폭시 희석제

 

콘크리트 저수저용 에폭시 제품을 적용한
바탕정리-에폭시하도-에폭시 1회 코팅-에폭시 2 회코팅

 

많은 비전문가 또는 일반인들이 콘크리트 저수저용 에폭시 공정을
방수공사로 인식.에폭시 코팅 2 회 바닥공사로 옥상부위에 시공들 하지만
적용의 잘못으로 인해 차후 하자 발생시 기시공되어진 제거비용 고비용 발생 .

 

나-6.투명에폭시 라이닝 바닥공사 .

 

1.에폭시 하도
2.에폭시 중도=에폭시 라이닝

 

투명에폭시 중도 제품을 이용한 표준시공권고두께 T=3 mm공사가 원칙이며


고가의 공사금액 대비 황변 또는 뿌연해짐의 발생으로 인한 시공선택의 신중성.

 

나-7.투명에폭시 코팅 2회 바닥공사.

 

1.에폭시 하도
2.에폭시 상도=에폭시 코팅

 

투명에폭시 상도 제품을 이용한
바탕정리-에폭시 하도-에폭시 코팅 1회-에폭시 코팅 2회 공정

 

다-1.발포우레탄 그라우팅공사.


다-2.에폭시 그라우팅공사.

 

가.항목과 나.항목의 우레탄과 에폭시와 화학성분의 차이가 나는 제품을 적용
크랙간 부위 및 누수 부위 주변을 일정간격 드릴천공 기타 방법을 이용하여


시공면에 적합한 우레탄.에폭시액을 인위적으로 주입하는 방법으로
크랙으로 인해 누수되어지는 부위를 찾아 주입액과 물이 만나 팽창
훼손되어진 방수층 크랙을 메꾸는 방식으로 이해 .

 

라.우레탄폼 방수공사.

 

단열과 방수를 목적으로 시공들 되어지는데
단열에는 효과가 있는 반면 방수를 목적으로 적용하기는 미비


곡선부위가 존재하는 시공면 평활도가 좋지 않는 슬레트 부위에 적용은 가능

 

마.우레탄칩 바닥공사.


바인더와 우레탄칩을 이용하여 포장하는 방식으로 탄성이 있으며
자전거 도로 및 산책로에 많이 시공되어진다.

 

위와같이 시공부위에 따라 적용되어지는

우레탄 용어와 에폭시 용어의 혼용을 이해하기 바라며

위와 같은 내용들은 참고사항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7. 관수&배수&포장 > [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자] 잔디블럭  (0) 2014.12.16
칼라무늬콘크리트포장  (0) 2014.12.16
[디테일] 전기분야를 배려한 포장디테일  (0) 2014.08.13
잔디블록 주차장  (0) 2014.06.20
도막형바닥재 검토(2)  (0) 2014.02.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