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 수목생리&시공&관리/[수목] 뿌리&생장★

[펌]정원식물에 적합한 도시토양 연구 절실

by 장선생! 2019. 3. 21.

원식물에 적합한 도시토양

한국인공지반녹화협희 2019 세미나


 

 

       “정원식물에 적합한 도시토양 연구 절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2019년 정기총회 및 세미나 개최

              
  

[환경과조경 이형주 기자] “도시환경은 넓게 보면 다 인공지반이다. 도시에 녹지를 조성하는 것이 인공지반녹화라 생각하고 그에 적합한 토양 환경은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국내 토양학은 산림이나 경작지 토양을 다루며, 정원이라는 인공지반 기반 토양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정원은 도시환경에 조성하는 것이다. 정원식물의 다양한 생리에 적절한 토양이 무엇인지에 대해 돌아봐야 할 때다.”


박상길 가천대학교 조경식물생태연구실 외래연구원은 지난 19일 서울NPO지원센터에서 열린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2019년 정기총회 및 세미나’에서 정원식물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산림토양에 치중한 국내 연구환경을 지목하고, 인공지반으로 이뤄진 도시환경에서 자라는 정원식물에 적합한 도시토양을 연구하는 것을 조경 분야의 과제로 제시했다.


박 연구원은 먼저 식물이 인간과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는 것처럼 이해하는 데서 관리 문제가 시작된다고 지적했다. 식물과 동물,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호흡으로, 결국 같은 원리로 살아간다는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식물 생존을 위해 중요한 건 공기, 수분, 양분 순이 되고, 뿌리의 호흡을 도와줄 토양의 구조를 개선하는 게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이어 박 연구원은 “식물이 스스로 잘 자랄 수 있게 하는 것은 뿌리 발달을 돕는 것이다. 뿌리 발달을 촉진하는 요인은 토양의 비옥함이 아니라 토양 중 산소다. 정원 식물에 필요한 건 비옥함이 아니라 척박함이다”며 비료를 주는 것은 식물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함이 아니라 미생물의 먹이를 주는 것임을 이해시켰다.


뿌리만이 아니라 뿌리 분비물과 토양 미생물이 공존하는 범위를 근권이라 하는데, 이러한 근권을 활성화하는 것이 식물을 건강하게 하는 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식물 뿌리는 병원체의 침입을 받으면 유용 미생물을 자극해 저항물질을 분비하도록 유도한다. 이처럼 근권 미생물과의 공생을 통해 식물이 역동적인 방어 및 면역 체계를 갖추게 된다는 것이다.


미국조경가협회가 2013년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산림토양은 ▲무기토양 45~48% ▲유기토양 2~5% ▲수분 25% ▲공기 25%로 이뤄진 반면, 도시토양은 ▲무기토양 69~79% ▲유기토양 1% ▲수분 10~20% ▲공기 10~20%로 무기질 비율이 높고 공기는 턱없이 부족하다.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토양 입자에서 토양 공극으로 ▲물에서 토양 수분으로 ▲토양 질에서 토양 건강으로 ▲비옥한 토양에서 척박한 토양으로 ▲상토에서 살아있는 흙으로 시각을 바꿔 산림토양학이 아닌 ‘정원토양학’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특히 “토양 입자 사이의 공간을 통해 뿌리가 뻗어 나가고 식물이 살기 위해 필요한 수분과 공기를 얻게 된다”며 토양이 어떤 성분들로 구성돼 있는지 보다 어떤 구조로 이뤄져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점을 역설했다.


토양 입자 크기에 따른 배치도 중요하다. 식물을 심을 때 배수를 좋게 하기 위해 바닥에 자갈과 입자가 큰 흙을 깔고 위로 갈수록 입자가 가는 흙을 놓는 방식이 상식처럼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표면장력으로 인해 물은 큰 공극에서 작은 공극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윗부분 흙의 입자가 굵고 아래로 갈수록 가늘어야 한다는 것이 박 연구원의 설명이다.


이에 박 연구원은 “도시토양 개량의 목적은 땅을 비옥하게 하고 수분 공급량을 늘리는 게 아니라, 용적밀도 조절을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자연은 오래된 정원이다. 토양은 시간이 지나면서 천이가 일어난다. 정원을 만들 때 1년초를 심고 시간이 경과한 후 다년초를 심으면 토양 속 공기층과 미생물의 먹이가 되는 유기물이 늘어 근권이 성숙한 단계에 이르게 된다. 그때 꽃이 많이 피는 식물이 도입된다면 정원사가 인위적으로 양분을 공급하지 않아도 잘 살아갈 것이다. 인간의 관점에서 생각하지 말고 자연의 관점에서 도전하고 실험해보는 게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출처 환경과조경     http://www.lak.co.kr/m/news/view.php?id=6288

 

 

  
산수유의 뿌리  (0) 2019.05.02
매화나무의 뿌리  (0) 2019.05.02
대형목의 이식(외국)  (0) 2019.03.06
인공토&리기다소나무  (0) 2017.02.15
인공토&청단풍_배수판&뿌리  (0) 2017.02.13

댓글